박원순, 오세훈의 '압구정 마천루' 불허키로
압구정동 '강남속 강남' 계획 백지화, 한강르네상스 종언
서울시는 2일 '한강변 관리방향 및 현안사업 가이드라인'을 확정 발표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우선 한강변 수변 연접부는 위압감 완화를 위해 최고층수를 15층 이하로 제한하기로 했고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25층 이하,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35층 이하, 상업·준주거·준공업+저층부 비주거 용도 포함 건축물은 40층 이하로 제한된다.
중심지+제3종 일반주거지역 이상+저층부 비주거 용도를 포함한 복합용 건축물은 50층 이하를 적용한다. 도심·부도심과 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지역은 50층 이상까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최고 층수가 제3종 주거지역인 압구정, 반포, 이촌(서빙고)지구의 경우 35층 이하, 여의도, 잠실 등은 도심 내 중심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50층 이하가 적용된다. 여의도의 경우만 용도지역 변경 땐 공공기여 추가를 전제로 최고 층수를 50층 이상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처럼 고층건축에 엄격한 제한을 가하는 대신, 기존에 25%로 다른 지역보다 과도하게 높게 설정된 공공기여 비율을 15% 이하 수준으로 하향 조정하되 단지 특성에 따라 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가 정한 이같은 가이드라인은 지난 2009년초 오세훈 시장 시절에 정한 가이드라인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다.
2009년 1월19일 오세훈 시장은 압구정, 여의도, 잠실 지역에 대해 최고 층수를 제한하지 않아 63빌딩보다 높은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설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성수와 이촌, 반포, 구의, 자양, 당산 지구에는 최고 50층 안팎의 빌딩 신축을 허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압구정동 주민들이 추진했던 '압구정 마천루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 2005년 2월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 현대 1∼7차와 10차 단지인 압구정아파트지구 2주구 주민들은 13, 14차 단지를 제외한 나머지 아파트들을 1개 대단지로 묶어 재건축하는 내용의 개발기본계획 변경안을 서울시에 제출했다.
주민들은 기존 51개동의 2분의 1가량인 23개동에 최고 60층의 초고층 탑상형 아파트들을 지으려 했다. 주민들은 또한 단지내에 미니 야외골프장과 인공호수, 각각 3개씩의 초등-중-고등학교를 세우고 유명학원들을 유치해 '강남 속 강남'을 건설하려 했다.
당시 압구정 프로젝트는 아파트값 폭등을 우려한 건설교통부 반대로 무산됐으나, 오세훈 시장이 부활의 길을 열어준 것. 하지만 그후 부동산경기가 계속 곤두박질치면서 기회를 잡지 못하다가 이번에 박원순 시장에 의해 마지막 확인사살을 당한 셈이다.
용산역세권개발 좌초에 이어 또하나의 마천루 프로젝트가 막을 내린 셈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