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서울 재건축, 14주만에 반짝 상승

일반 아파트값은 계속 내리고 전세값은 계속 올라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박근혜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14주 만에 반짝 상승했다.

25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 시장은 금주에 0.16% 상승했다. 지난해 9.10 부동산 대책으로 취득세 감면 혜택 등의 시행이 확정되면서 3주 연속 상승하거나 보합세를 보인 이후 처음이다.

구별로는 △강남(0.40%) △강동(0.15%) △서초(0.13%) 순으로 상승했다. ▼송파는 (-0.01%) 하락했다.

<부동산114>는 "하지만 거래량 자체가 작년 연말처럼 크게 늘어난 것은 아니다. 저가 급매물이 소진된 상황에서 오른 가격에 한 두건의 거래가 이뤄지고, 집주인들도 급매물을 거둬들여 나타난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이라며 "1월 임시국회가 연기돼 추격 매수보다는 관망세가 다시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이미 조정된 상황이므로 추가 조정보다는 보합세로 유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재건축 아파트는 반짝 상승했으나 일반 아파트 값은 ▼서울(-0.02%) ▼신도시(-0.02%) ▼수도권(-0.01%) 등으로 계속 하락했다. 그러나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가격 상승으로 전주보다 하락폭이 둔화됐다.

서울은 ▼동대문(-0.14%) ▼도봉(-0.14%) ▼성북(-0.13%) ▼강서(-0.11%) ▼마포(-0.07%) ▼성동(-0.07%) ▼영등포(-0.06%) ▼양천(-0.04%) 지역이 하락한 반면, △강남(0.04%) △서초(0.04%) △강동(0.01%) △송파(0.01%) △광진(0.01%) 지역은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서울(0.06%) △신도시(0.01%) △수도권(0.01%) 등으로 상승행진을 계속했다.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신혼부부 실수요 움직임이 늘었고 재계약 매물이 많아 전세 매물 부족으로 가격 상승은 여전히 이어졌다.

서울은 성동(0.15%) △서대문(0.13%) △강서(0.12%) △강남(0.09%) △도봉(0.09%) △광진(0.08%) △성북(0.08%) △영등포(0.08%) △송파(0.07%) 지역이 상승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5 0
    기자

    기자야 거래된 2건은 재건축 악파트 값 올릴려고 자전거래한 건이다. 뭐 좀 알고 기사써라. 꼴랑 2건외에 여러건 오른 가격에 거래 된다면 내 손에 장 지진다. 어떤 미 친 놈이 이 판국에 뎌질려고 환장 않고서야 재건축 악파트를 산단 말이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