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5년', 전셋값 37% 폭등. 무주택자 고통 급증
서울 전세값 급등에 서울 주변 지역은 더 급등
'MB 5년'간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37%나 폭등, 무주택자들의 고통을 크게 증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현 정부가 출범한 2008년 2월부터 현재까지 아파트 전셋값이 37.17% 올랐다.
서울이 32.16%, 경기도가 33.01%, 신도시가 26.61%, 인천이 24.94% 각각 상승했고, 5대 광역시(인천 제외)도 46.32% 올랐으나 기타 시도는 51.28%나 급등했다.
서울의 경우 지하철 9호선 개통 호재를 누린 강서구가 42.59%로 가장 많이 올랐고 광진구(39.66%), 중랑구(35.97%), 마포구(35.74%), 영등포구(35.18%) 등 비강남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화성시가 74.07%나 폭등했고 하남시(51.24%), 오산시(47.90%), 여주군(46.64%), 남양주시(45.87%) 등의 상승폭이 컸다. <부동산써브>는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했던 화성, 여주, 남양주시 등과 강동구의 대규모 재건축 이주수요가 인근 하남시로 분산되면서 전셋값 상승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지방에서는 혁신도시가 위치한 전북이 63.71%로 가장 상승폭이 컸고, 여수엑스포가 개최됐던 전남(63.61%), 부산~김해간 경전철, 거대대교 개통 등 교통호재가 있는 경남(59.25%), 부산(58.61%)이 뒤를 이었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무주택 서민들의 실생활 고통을 크게 증가시킨 전월세값 급등은 현재까지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며 MB정권의 전월세 정책에 낙제점을 줬다.
반면 현 정부 들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3.51%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4.39%), 경기도(-7.35%), 신도시(-14.26%), 인천(3.43%) 등 수도권 매매가는 떨어졌다. 6억원 이상의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강남구(-16.44%), 강동구(-13.23%), 송파구(-12.89%), 양천구(-9.92%) 등의 내림폭이 컸다.
경기도에서도 과천시(-20.49%), 용인시(-18.19%), 성남시(-17.07%), 김포시(-16.16%) 등이 일제히 급락했다.
그러나 지방 5대 광역시는 31.42%, 기타 시도는 33.99% 각각 올랐다. 전북이 혁신도시 기대감으로 57.44% 오르면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전남이 48.82%, 부산이 47.76%, 경남이 46.72% 각각 상승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상승률이 크게 둔화됐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현 정부가 출범한 2008년 2월부터 현재까지 아파트 전셋값이 37.17% 올랐다.
서울이 32.16%, 경기도가 33.01%, 신도시가 26.61%, 인천이 24.94% 각각 상승했고, 5대 광역시(인천 제외)도 46.32% 올랐으나 기타 시도는 51.28%나 급등했다.
서울의 경우 지하철 9호선 개통 호재를 누린 강서구가 42.59%로 가장 많이 올랐고 광진구(39.66%), 중랑구(35.97%), 마포구(35.74%), 영등포구(35.18%) 등 비강남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화성시가 74.07%나 폭등했고 하남시(51.24%), 오산시(47.90%), 여주군(46.64%), 남양주시(45.87%) 등의 상승폭이 컸다. <부동산써브>는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했던 화성, 여주, 남양주시 등과 강동구의 대규모 재건축 이주수요가 인근 하남시로 분산되면서 전셋값 상승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지방에서는 혁신도시가 위치한 전북이 63.71%로 가장 상승폭이 컸고, 여수엑스포가 개최됐던 전남(63.61%), 부산~김해간 경전철, 거대대교 개통 등 교통호재가 있는 경남(59.25%), 부산(58.61%)이 뒤를 이었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무주택 서민들의 실생활 고통을 크게 증가시킨 전월세값 급등은 현재까지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며 MB정권의 전월세 정책에 낙제점을 줬다.
반면 현 정부 들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3.51%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4.39%), 경기도(-7.35%), 신도시(-14.26%), 인천(3.43%) 등 수도권 매매가는 떨어졌다. 6억원 이상의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강남구(-16.44%), 강동구(-13.23%), 송파구(-12.89%), 양천구(-9.92%) 등의 내림폭이 컸다.
경기도에서도 과천시(-20.49%), 용인시(-18.19%), 성남시(-17.07%), 김포시(-16.16%) 등이 일제히 급락했다.
그러나 지방 5대 광역시는 31.42%, 기타 시도는 33.99% 각각 올랐다. 전북이 혁신도시 기대감으로 57.44% 오르면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전남이 48.82%, 부산이 47.76%, 경남이 46.72% 각각 상승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상승률이 크게 둔화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