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정동영 연일 '남북정상회담 드라이브'

"내년 3~4월이 적기", 한나라 "정권 재창출 음모"

정동영 열린우리당 전 의장이 연일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주장하고 나서 정가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동영 "남북정상회담 내년 3~4월이 적기"

중국방문을 마치고 6일 저녁 귀국한 정 전의장은 7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지난 7월 미사일 발사 이후 6개월 이상 남북간에는 당국자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외교의 최고수단은 정상외교"라며 "김정일 위원장 입장에서 본다면 핵 보유의 길을 가기로 한다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고 협상을 통한 비핵화의 여지를 갖고 있다면 한국과의 대화와 남북정상회담을 통해서, 미-북간의 건널 수 없는 불신의 강이 있는 현실 속에서 협상을 통한 비핵화의 길에 한국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남북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을 주장했다.

정 전의장은 이어 "이미 남북정상회담은 원칙적으로 남북간에 합의가 된 바가 있고 또 구체적으로 추진되다가 중단돼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김정일 위원장의 결단만 남아 있는 것"으로 "북이 전쟁 대신 평화를 원하고 그리고 기사회생을 원한다면 결단하지 못할 것이 없으리라고 생각한다"고 김정일 위원장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 전의장은 11.7 중간선거 참패후 달라진 부시 미정권의 대북 접근방식을 지적한 뒤 "지금이 남북간에 평화정상회담을 시도해야 할 때"라며 "대북 특사도 보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역할을 여기까지라고 말해 대북 특사로 나설 생각은 없음을 내비쳤다.

그는 "내가 작년에 만났던 경험으로 보면 김정일 위원장도 결단을 못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렇게 되면 한반도 정세는 핵실험 이후에 위기국면으로부터 대화를 통한 협상의 방향으로 큰 방향을 틀게 되고, 이것은 곧 우리 경제에도 결정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이기 때문에 곧 이것이 경제를 살리는 가장 핵심적인 일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정 전의장은 이에 앞서 지난 5일 베이징에서 가진 한국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정상회담 문제는) 중국에 미뤄두거나 미국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다"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결단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지금이야말로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시기를 놓치면 정상회담을 열 시간이 없다"며 "그 다음은 (한국이) 대선 정국으로 접어들기 때문에 내년 3~4월이 적기"라고 구체적으로 시기를 적시하기도 했다.

정동영 전 의장이 연일 남북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을 강조해 정가의 이목을 끌고 있다. ⓒ연합뉴스


한나라당 "남북정상회담 이용한 재집권 탐욕"

정동영 전의장의 남북 정상회담 드라이브에 대해 한나라당은 경계심을 피력하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내년 대선에 적잖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위기감에서다.

유기준 한나라당 대변인은 6일 정 전의장 발언과 관련, "열린우리당이 재집권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남북정상회담으로 결론이 난 모양"이라며 "북한 핵무기의 폐기에 대한 아무 조건 없이 김정일에게 남북정상회담을 촉구한 것은 재집권에 대한 탐욕을 염두에 둔 정상회담의 애걸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유 대변인은 "진정으로 국민의 안보를 걱정한다면 김정일위원장에 정상회담을 구걸할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체제 정착을 위해 일체의 핵관련 프로그램을 조속히 포기하라고 촉구하여야 할 것"이라며 "현재의 상황은 남북간에 정상회담을 한다고 하여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오히려 북한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원칙 없는 퍼주기만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규택 한나라당 의원도 이날 당 홈페이지에 띄운 노무현정권의 4가지 정권 재창출 시나리오를 언급하며 그 중 하나로 "남북정상회담을 활용한 만천과해(瞞天過海) 시나리오"를 거론하며 "설인귀가 물을 두려워하는 당 태종의 배에 장막을 쳐서 요하(遼河)를 건너게 했듯 노무현 대통령이 김정일과 손을 잡고 남북정상회담 · 상호방문 · 통일헌법 제정을 빙자한 국민투표 등을 통해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린 체 정권연장을 기도하는 제2의 6·15선언을 획책할 것"이라고 경계심을 피력했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