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전세값, 1년새 11% 폭등. 일반물가 2.4배 올라

물가 불안 더 심화, 가계소비 위축

최근 1년간 전세가격 상승률이 약 11%에 달하면서 물가상승률의 2.4배를 웃돌았다.

전세가격 상승분이 향후 1∼2년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고 가계 소비가 위축될 수 있어 보금자리주택의 임대주택 전환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4일 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17.4로 전년동기보다 10.9%나 급등했다.

전년 2월 대비 1년간 상승률은 2002년 이후 9년만에 최고 수준이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4.5%에 비해서는 2.4배를 넘었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세가격을 24개월(전세기간) 이동 평균하면 소비자물가에 포함된 전세가격과 비슷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물가에 포함되는 전세가격의 경우 조사 대상이 전체 전세 가구의 4%에 불과한 데다 전세값 상승 시점이 아닌 전세계약 체결시점에서야 물가지표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전세가격 상승폭이 향후 1∼2년새 소비자물가에 대부분 반영되면서 물가 불안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소비자물가에서 집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달하고 있으며 전세는 6.6%를 차지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전세가격 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뛰어넘었다고 볼 수 있다"며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세가격이 많이 뛰었다면 2년 정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세가격이 물가에 포함되지만, 전세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금리인상은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가 높아지면 전세금 인상으로 대출을 늘려야 하는 세입자들이 이중고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 소비가 위축되는 역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보금자리주택의 임대 전환 등 공급 확대를 통해 급한 불을 끈 뒤 위축된 주택 매매 수요 회복 등 장기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전세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미분양 아파트를 전세물량으로 돌리거나 보금자리 주택을 임대로 돌리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며 "동시다발적인 주택 재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이뤄지도록 해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전세 수요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임 연구위원은 "전세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려면 주택 가격이 올라서 집주인이 전세로 수익을 창출하려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8 0
    전부 110% 상승

    여긴 김해 장유 지역, 매매, 전세, 월세 모두 110% 올랐다~!
    어디서 조사한 자료이냐?
    110%??? 이거 뭐니 ?? 투기범들 너무 심하다 정말!
    다 쳐부수고 싶구나~! 쓰나미로 싹 쓸어버리고 싶다~! 다 망해서 다시 시작하자~!

  • 1 0
    쥐박멸

    전세로 수익을 창출... 어이가 없구만.
    전세 문제는 해결될지 몰라도 주택 문제를 더 심화시키는 방법이다.
    저런 걸 '근본적인 해결'이라고 내놓은 미친 인간을 연구위원으로 두고 있냐? 현대도 갈 데까지 갔군

  • 1 0
    개애자식덜

    집으로 돈 벌려는 자식들은 단군 자손이 아니다....이땅에서 추방 되어야 할 더러운 짐승들이다...어찌 이 좁은 땅에서 집으로 땅으로 돈 벌려는 생각을 하고 그런 정책을 펼까?....더러운 짐승들이다....

  • 2 0
    어이없음

    맨 마지막 임 연구원의 멘트는 어이없음. 어찌 전세값 급등의 해결책이 주택가격의 상승이란 말인가???
    전월세상한제를 즉각 시행하시라~~~

  • 1 0
    연구위원?

    전세제도는 집값의 상승이 담보되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 최악의 대출초과 상태로
    시장은 더 이상의 대출 여력이 없으니 집값상승은 불가능.
    따라서 전세제도는 그 수명을 다한 듯.
    결국 선진국처럼 월세 중심으로 갈 수 밖에 없고...
    집값은 국민소득을 감안한 월세가
    시장수익율을 보장하는 수준, 즉
    상당폭 하락하여 정상화될 듯..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