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택담보대출 비중, 사상최대치 경신

주택담보대출 받아 중소기업 운영비로 사용도

은행의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년째 커져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출금 가운데 실제로 주택시장에 흘러가는 돈은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였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은행 가계대출 잔액 418조9천억원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273조2천억원으로 65.2%를 차지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관련 통계가 만들어진 2003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2008년 2분기 60.9%였던 이 비중은 지난해 1분기 63.1%, 3분기 64.0% 등으로 8개 분기 연속 커졌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의 대규모 부실 사태에도 우리나라는 오히려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줄지 않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상호저축은행이나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을 포함하면 주택담보대출은 341조6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60.1%에 해당했다.

은행권과 비은행권을 합친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올해 사상 처음으로 60%를 넘었다.

이처럼 금융기관들이 주택담보대출 영업에 주력하는 것이 경제 전체적으로는 비효율을 가져온다는 견해도 있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금융중개 기능을 수행해야 할 은행이 손쉬운 주택담보대출에 치중하는 것은 경제의 성장 잠재력 확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올해 들어서는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해 실제 주택 구매에 사용한 금액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들이 제출한 대출 사용처 비율을 적용하면 주택 구매용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4분기 139조8천억원까지 늘었다가 올해 1분기 134조4천억원, 2분기 126조5천억원으로 줄었다.

물론 대출자들이 창구에서 밝힌 사용처와 다른 목적으로 대출금을 쓰는 사례도 종종 있다는 후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비관적 전망으로 주택 구매용 주택담보대출이 감소한 것 같다"며 "자금 사정이 어려워진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주택담보대출로 운영 자금을 조달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5 0
    부동산 거품

    저 폭탄거품이 터지면 순식간에 사회는 아수라장된다.
    그런데도 쥐박이정부는 그 거품을 키우고 있다.
    토건족들이 지배한 부동산 공화국 아니 아파트공화국
    나라는 부강해도 백성은 배고픈 이상한 나라 일본을 보아라
    30여년전에 터진 부동산 거품으로 지금도 헤메고있다. 배워라

  • 6 0
    개정치꾼들아

    국민을 완전 빚덩이 얹는구만... 이게 니들이 말하는 개정치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