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광근 "친박이 반대하는데 어떻게 밀어붙여?"
'세종시 수정 백지화론' 급확산, 안상수 "정운찬, 발표 늦춰라"
친이계인 장광근 총장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세종시 논란과 관련, "이 문제에 대해선 제일 중요한 것은 충청권 주민들이 마음으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느냐가 아니겠냐"며 "예를 들어서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또 온갖 진수성찬이라 하더라도 떠서 입을 벌려서 이렇게 넣어드릴 수도 없는 것 아니겠냐"며 충청민심이 최대 변수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나름대로 노력을 다 했는데 그래도 안 된다면 이걸 여러 가지 정치역학상 표로 밀어붙일 사항은 아니지 않겠냐"라며 "여야 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지금 우리 여당 내에서도 또 다른 시각이 있기 때문에"라며 세종시 수정 백지화 가능성을 강력시사했다.
그는 "정말 정부나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모든 진정성을 담은 내용들이 채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안 됐을 때 이걸 과연 표로 밀어붙인다, 또 뭐 당내 기본적인 하여튼 현실역학관계에서 표로 밀어붙인다고 해서 솔직히 친박계 의원 전체가 이걸 반대한다면 또 그게 되겠냐"며 세종시 수정안을 놓고 국회 표결까지 갈 생각이 없음을 거듭 분명히 했다. 자칫 표결에서 세종시 개정안이 부결될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치명적 레임덕을 경험하게 될 것이란 친이계의 우려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또 "누가 보더라도 상식적으로 이 부분이 충청도민들에게 안 받아들여지면 어떻게 할 것이냐 라는 데 대해서는 객관적인 생각들의 방향은 다 마찬가지 아니겠는가"고 말해, 세종시 퇴로를 열려는 생각이 정부여당내 중론임을 분명히 했다.
한편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세종시 수정 백지화론이 급속 확산되는 데 대해 당혹감을 나타내며 '함구령'을 내리면서도 정운찬 총리에게 세종시 최종안 제출 시기를 내년초로 늦추라고 주문, 정부가 준비중인 최종안이 기대 이하 수준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안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최근 세종시 문제에 관한 여러가지 얘기가 보도되고 있다"며 "정부에서 '하나도 안 갈 수도 있고 다 갈 수도 있다'는 발언이 나왔고,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은 '설득해서 안 되면 원안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사견을 내놨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세종시에 대한 여권의 노력에 김이 빠지고 있다"며 정운찬 총리와 장광근 사무총장 등을 정조준했다.
그는 "세종시에 대한 산발적인 입장 개진은 당의 결속와 국민들의 동의를 얻는 데도 도움이 안되니 의원들의 자제를 당부한다"며 "정부도 불필요한 발언으로 정치적 논란을 유발시키지 말고 세종시 문제에 대해 국민설득에 나서달라"며 함구령을 내렸다.
그는 이어 정 총리를 향해 "정운찬 총리가 세종시 관련 정부 대안 발표시기를 12월 말에 한다고 했는데 그때는 예산안을 둘러싸고 여야간 충돌이 극대화되는 때라 곤란하다"며 "대안 내용을 충실히 해 내년 1월초로 발표시기를 조절해주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세종시 수정안 발표 시기 연기 주문은 앞서 청와대가 최대한 발표시기를 앞당기라고 주문했으나 정 총리가 연말로 늦추겠다고 한발 물러선 데 이어 나온 것이어서, 정부여당이 '퇴로'를 준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 한층 힘을 실어주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 발표 시기가 내년초로 넘어갈 경우 당초 2월 임시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을 통과시키겠다던 계획도 무산되면서 세종시 수정 자체가 백지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청와대나 한나라당의 공식 부인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수정은 점점 백지화되는 쪽으로 흘러가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