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개포 재건축, 평당 7000만원 돌파!
서울 재건축 사상최고치 경신, 정부의 DTI 규제 '무의미'
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아파트의 3.3㎡당 매매값은 8개월 연속 올라 4일 현재 3천555만원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다.
지난 2007년 1월 3천512만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대출규제 강화와 분양가상한제 확대를 골자로 하는 1.11대책과 세계금융위기 등으로 2년간 약세를 보이면서 작년 말 2천849만원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올 들어 강세로 반전된 뒤 폭등을 거듭해 마침내 종전 최고치를 경신했다.
재건축 아파트 폭등의 반사이익은 서울 전체 재건축의 87%가 몰려 있는 강남권이 독식했다.
강남구의 경우 지난해 2월 4천677만원까지 오른 이후 약세로 돌아서 지난해 12월 3천756만원까지 떨어졌으나, 최근 4천804만원을 기록하며 종전 최고치를 넘어섰다.
서초구는 아직 최고치를 만회하지 못했지만 현재 3천243만원으로 2007년 1월 최고가(3288만원) 대비 99%의 회복률을 보이고 있어 최고가 경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송파구(3596만원)와 강동구(3289만원)도 올해만 30~36% 정도 오르면서 최고가의 95% 수준을 회복했다.
개별단지별로는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의 경우 7천3만원으로 마침내 '7천만원 벽'까지 돌파하며, 종전 최고가격이었던 2008년 1월의 6천681만원을 크게 넘어섰다.
서초구 반포동 주공1단지도 현재 4천908만원으로 종전 최고가격(2007년 1월 4천850만원)을 돌파했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는 3천869만원으로 2007년 1월 최고가(4천70만원)에 95% 수준이었고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는 4천67만원으로 최고가(4천237만원)대비 96%를 기록했다.
<부동산써브>는 "이같은 재건축의 강세는 정부의 도심 및 도심근교 주택공급확대 방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며 "최근 재건축 조합원 지분 전매 자유화 등 실질적인 재건축관련 규제가 완화되는 것도 가격상승의 원동력으로 볼 수 있다"며 정부와 서울시의 각종 부동산규제 완화가 재건축 폭등의 주범임을 분명히 했다.
<부동산써브>는 향후 전망과 관련해서도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강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정부가 DTI규제 확대 카드를 빼 들었지만 이는 강남3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 대책이 강남에는 아무런 약발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같은 재건축 폭등을 막기 위해선 금리 인상과 통화량 환수 등 정공법밖에 없으나 정부는 내년까지 기존의 금리통화정책을 고수한다는 입장이어서, 부동산거품은 더욱 확대재생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