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장 공동위원장 한승수-한명숙
29일 진영공설운동장에서 영결식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을 주관할 공동 장의(葬儀)위원장으로 한승수 국무총리와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결정됐다.
노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은 서거일인 23일부터 오는 29일까지 7일간이며, 영결식과 안장식은 29일 김해시 소재 진영공설운동장과 봉하마을에서 각각 거행된다.
정부는 24일 오후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계획안'을 상정, 의결했다.
계획안은 이날 중 이명박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한승수 총리는 "정부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고 경의를 표하기 위해 국민장으로 장의를 거행할 계획"이라며 "전직 대통령의 예우에 소홀함이 없도록 장의위원회를 구성해 최대한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 전대통령 지지자들중 일부는 한승수 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는 데 강력 반발하고 있어 여진이 뒤따를 전망이다.
노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은 서거일인 23일부터 오는 29일까지 7일간이며, 영결식과 안장식은 29일 김해시 소재 진영공설운동장과 봉하마을에서 각각 거행된다.
정부는 24일 오후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계획안'을 상정, 의결했다.
계획안은 이날 중 이명박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한승수 총리는 "정부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고 경의를 표하기 위해 국민장으로 장의를 거행할 계획"이라며 "전직 대통령의 예우에 소홀함이 없도록 장의위원회를 구성해 최대한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 전대통령 지지자들중 일부는 한승수 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는 데 강력 반발하고 있어 여진이 뒤따를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