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민계몽-정책홍보 방송프로 제작키로
녹색뉴딜, 법질서 확립 등 40억원치 방송물 제작
방송통신위원회가 예산 40억원을 투입해 방송사를 통해 정책 홍보와 국민계몽성 프로그램을 제작키로 한 사실이 드러났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2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방통위는 2월 19일 방송콘텐츠 진흥사업의 일환으로 175억원 규모의 방송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중 40억원의 예산을 책정하여 정책홍보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주장하며 관련 문건을 공개했다.
전 의원은 "방통위는 이를 위해 2월에 전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상대로 '공공분야 전문 콘텐츠 수요조사'를 펼쳐 정부부처 51건, 지방자치단체 13건, 공공기관 42건 등 총 106건의 정책홍보 기획안을 접수하였다"고 덧붙였다.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방송사와 기획물을 제작하며 협찬하는 문제는 과거 정부에도 관행처럼 해왔던 일. 일례로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06년만 하더라도 KBS의 경우 중앙부처-지자체에 91억원의 협찬비를 받고 공익 프로그램을 제작한 바 있고, 2007년에도 69억원 가량의 협찬비를 받고 공동 기획물을 내놨었다.
전 의원이 문제삼고 나선 것은 프로그램의 성격. 전 의원이 공개한 방통위의 프로그램 계획안에 따르면, 우선 기획재정부의 요청으로 '공기업선진화를 한국경제 재도약의 동력으로'라는 주제로 50분짜리 방송물 3편이 기획됐다. 기획의도에는 "공기업 선진화의 해외 성공사례를 통해 국민적 지지를 결집하고 이를 개혁동력으로 견인한다"고 돼 있다.
기획재정부가 요청한 또다른 프로그램 계획안은 이명박 정부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녹색뉴딜 정책'. 이를 위해 50분짜리 방송물 1편을 제작키로 계획돼 있었다.
법무부는 '법질서바로세우기 운동 홍보'를 주제로 한 30분짜리 방송물 2편을 요구했고, 행정안전부는 '사회통합과 선진화를 지향하는 신국민운동 추진'을 주제로 한 50분짜리 방송물 3편을 요구했다.
이밖에도 외교통상부의 요청으로 '경제활성화, 위기극복을 위한 숨은 외교적 노력과 협상과정'이라는 주제의 50분짜리 방송물 3편이 기획됐고, 교육과학기술부의 요구로 '영어교육정책'을 소재로 한 50분짜리 방송물 1편도 기획됐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전 의원 주장에 "정권홍보, 정권홍보 그러시지 말고 국민을 위한 의지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펴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불쾌한 반응을 나타냈다. 최 위원장은 그러나 전 의원의 추궁이 계속되자 짜증스러운 말투로 "백지화하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허원제 한나라당 의원이 "협찬이라고 하는 것은 지금 새 정부 들어서서 시작된 게 아니고 오래전부터 있어온 하나의 관행"이라며 "그런데 이걸 가지고 전병헌 의원이 마치 정부가 KBS의 편성권을 침해하기 위한 언론장악을 위한 것으로 자꾸 말하는데 기본적으로 잘못된 말씀 아닌가?"라고 반박했다.
최 위원장은 이에 "저는 전 의원이 문화부에서 (KBS에 보낸) 공문, 그 문제로 얘기를 하는 줄 알았는데..."라며 "이것은 우리 위원회에서 공식 회의를 거치고 각 기관으로부터 지원요청을 받아 심사, 결정해서 40억원의 금년도 예산을 배정하고 있는 그런 사업"이라고 백지화 방침을 5분만에 뒤집었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2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방통위는 2월 19일 방송콘텐츠 진흥사업의 일환으로 175억원 규모의 방송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중 40억원의 예산을 책정하여 정책홍보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주장하며 관련 문건을 공개했다.
전 의원은 "방통위는 이를 위해 2월에 전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상대로 '공공분야 전문 콘텐츠 수요조사'를 펼쳐 정부부처 51건, 지방자치단체 13건, 공공기관 42건 등 총 106건의 정책홍보 기획안을 접수하였다"고 덧붙였다.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방송사와 기획물을 제작하며 협찬하는 문제는 과거 정부에도 관행처럼 해왔던 일. 일례로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06년만 하더라도 KBS의 경우 중앙부처-지자체에 91억원의 협찬비를 받고 공익 프로그램을 제작한 바 있고, 2007년에도 69억원 가량의 협찬비를 받고 공동 기획물을 내놨었다.
전 의원이 문제삼고 나선 것은 프로그램의 성격. 전 의원이 공개한 방통위의 프로그램 계획안에 따르면, 우선 기획재정부의 요청으로 '공기업선진화를 한국경제 재도약의 동력으로'라는 주제로 50분짜리 방송물 3편이 기획됐다. 기획의도에는 "공기업 선진화의 해외 성공사례를 통해 국민적 지지를 결집하고 이를 개혁동력으로 견인한다"고 돼 있다.
기획재정부가 요청한 또다른 프로그램 계획안은 이명박 정부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녹색뉴딜 정책'. 이를 위해 50분짜리 방송물 1편을 제작키로 계획돼 있었다.
법무부는 '법질서바로세우기 운동 홍보'를 주제로 한 30분짜리 방송물 2편을 요구했고, 행정안전부는 '사회통합과 선진화를 지향하는 신국민운동 추진'을 주제로 한 50분짜리 방송물 3편을 요구했다.
이밖에도 외교통상부의 요청으로 '경제활성화, 위기극복을 위한 숨은 외교적 노력과 협상과정'이라는 주제의 50분짜리 방송물 3편이 기획됐고, 교육과학기술부의 요구로 '영어교육정책'을 소재로 한 50분짜리 방송물 1편도 기획됐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전 의원 주장에 "정권홍보, 정권홍보 그러시지 말고 국민을 위한 의지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펴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불쾌한 반응을 나타냈다. 최 위원장은 그러나 전 의원의 추궁이 계속되자 짜증스러운 말투로 "백지화하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허원제 한나라당 의원이 "협찬이라고 하는 것은 지금 새 정부 들어서서 시작된 게 아니고 오래전부터 있어온 하나의 관행"이라며 "그런데 이걸 가지고 전병헌 의원이 마치 정부가 KBS의 편성권을 침해하기 위한 언론장악을 위한 것으로 자꾸 말하는데 기본적으로 잘못된 말씀 아닌가?"라고 반박했다.
최 위원장은 이에 "저는 전 의원이 문화부에서 (KBS에 보낸) 공문, 그 문제로 얘기를 하는 줄 알았는데..."라며 "이것은 우리 위원회에서 공식 회의를 거치고 각 기관으로부터 지원요청을 받아 심사, 결정해서 40억원의 금년도 예산을 배정하고 있는 그런 사업"이라고 백지화 방침을 5분만에 뒤집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