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李대통령, 불교계에 사과하라"
"지금의 사태, 李대통령과 연관이 되어 있어 보여"
<중앙일보>가 27일 범불교도대회에 긴장감을 나타내며 이명박 대통령에게 대불교계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중앙일보>는 이날자 사설 '종교 간 불화 확대돼선 안 된다'를 통해 "종교 차별을 이유로 성직자와 신도들이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에 나서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게 됐다"며 "불교계가 이렇게 나서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며 이명박 정부 출범후 발생한 종교편향 사례를 열거했다.
사설은 "정부는 출범 초부터 소망교회 인맥을 중시해 ‘고소영 내각’이란 소리를 들었다. 청와대 경호처장은 ‘모든 정부 부처의 복음화가 나의 꿈’이라고 발언했다.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신앙심이 부족해 사회복지 정책이 실패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포항시를 기독교 도시로 만드는 데 예산 1%를 쓰겠다고 다짐했던 포항시장은 중앙공무원 교육원장에 임명됐다. 전국경찰복음화금식대성회 홍보 포스터에 어청수 경찰청장의 얼굴 사진이 조용기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와 나란히 실렸다. 국토해양부의 ‘교통정보시스템’,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지리정보시스템’에 교회와 성당은 들어 있는데 사찰은 몽땅 빠졌다. 조계사 입구에서 경찰이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의 승용차 안과 트렁크까지 뒤졌다"며 "새 정부가 기독교는 감싸고 불교를 차별한다는 오해를 부를 만한 일들이 계속돼 온 것"이라며 불교계 반발에 공감을 표시했다.
사설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지금의 사태는 기독교 장로 신분인 이명박 대통령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보인다"며 "서울시장 재직 시절 '서울시를 하나님께 봉헌한다'는 발언으로 다른 종교의 반발을 샀던 터다. 대통령 취임 후엔 이를 거울삼아 더 조심하고 경계했어야 옳다. 오해를 부를 만한 사태가 계속될 때 공직자들의 종교편향적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하면 징계하겠다는 명확한 지침을 내렸어야 했다"며 이 대통령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지적했다.
사설은 결론적으로 "불교계의 시위사태가 계속되면 결국 다른 종교의 반발을 불러 새로운 종교 분쟁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대통령은 앞장서서 이를 막아야 할 책임이 있다. 그 방법은 명백하다. 청와대의 수석회의 발언으로 넘어갈 것이 아니라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해야 한다"며 대국민 담화를 통한 사과를 촉구했다.
사설은 "설혹 대통령의 의도가 그렇지 않았다 해도 불교계가 그런 의심을 가졌다 하면 대통령이 사과하는 것이 좋다. 공직자들이 종교 편향적 행위를 하면 인사상 불이익이나 징계를 가하겠다는 의사도 명확히 표명해야 한다"며 거듭 이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 문책을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이날자 사설 '종교 간 불화 확대돼선 안 된다'를 통해 "종교 차별을 이유로 성직자와 신도들이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에 나서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게 됐다"며 "불교계가 이렇게 나서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며 이명박 정부 출범후 발생한 종교편향 사례를 열거했다.
사설은 "정부는 출범 초부터 소망교회 인맥을 중시해 ‘고소영 내각’이란 소리를 들었다. 청와대 경호처장은 ‘모든 정부 부처의 복음화가 나의 꿈’이라고 발언했다.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신앙심이 부족해 사회복지 정책이 실패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포항시를 기독교 도시로 만드는 데 예산 1%를 쓰겠다고 다짐했던 포항시장은 중앙공무원 교육원장에 임명됐다. 전국경찰복음화금식대성회 홍보 포스터에 어청수 경찰청장의 얼굴 사진이 조용기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와 나란히 실렸다. 국토해양부의 ‘교통정보시스템’,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지리정보시스템’에 교회와 성당은 들어 있는데 사찰은 몽땅 빠졌다. 조계사 입구에서 경찰이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의 승용차 안과 트렁크까지 뒤졌다"며 "새 정부가 기독교는 감싸고 불교를 차별한다는 오해를 부를 만한 일들이 계속돼 온 것"이라며 불교계 반발에 공감을 표시했다.
사설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지금의 사태는 기독교 장로 신분인 이명박 대통령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보인다"며 "서울시장 재직 시절 '서울시를 하나님께 봉헌한다'는 발언으로 다른 종교의 반발을 샀던 터다. 대통령 취임 후엔 이를 거울삼아 더 조심하고 경계했어야 옳다. 오해를 부를 만한 사태가 계속될 때 공직자들의 종교편향적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하면 징계하겠다는 명확한 지침을 내렸어야 했다"며 이 대통령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지적했다.
사설은 결론적으로 "불교계의 시위사태가 계속되면 결국 다른 종교의 반발을 불러 새로운 종교 분쟁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대통령은 앞장서서 이를 막아야 할 책임이 있다. 그 방법은 명백하다. 청와대의 수석회의 발언으로 넘어갈 것이 아니라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해야 한다"며 대국민 담화를 통한 사과를 촉구했다.
사설은 "설혹 대통령의 의도가 그렇지 않았다 해도 불교계가 그런 의심을 가졌다 하면 대통령이 사과하는 것이 좋다. 공직자들이 종교 편향적 행위를 하면 인사상 불이익이나 징계를 가하겠다는 의사도 명확히 표명해야 한다"며 거듭 이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 문책을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