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포드 CEO "AI, 미국 사무직 절반 대체할 것"

앤시로픽 CEO "5년내 사무직 절반 없애고 실업률 20% 될 것"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그동안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론을 보여왔던 미국 재계에서도 일자리 대체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

2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자동차업체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한 인터뷰에서 "AI가 말그대로 미국 사무직 노동자의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면서 "많은 사무직이 뒤처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실리콘밸리가 아닌 미국 대기업 CEO들의 발언 중에 가장 날카로운 수준이라고 WSJ은 평가했다.

실리콘밸리 밖에서는 AI발 실업에 대해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발언이 드물었고, 혁신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난다는 식으로 피해 가곤 했다는 것이다.

대기업 CEO들은 그러면서도 사석에서는 인건비 축소에 대해 말해왔고 자동화 소프트웨어와 AI, 로봇 등을 활용해 업무 효율화 작업을 해왔다. AI에 대한 CEO들의 평가는 주간 단위로 바뀔 정도로 빠르다는 게 WSJ 설명이다.

대형 은행 JP모건체이스의 커뮤니티비즈니스 부문 CEO인 메리앤 레이크도 AI 도입으로 향후 몇 년간 운영 부문 인력이 10% 줄어들 수 있다고 지난달 말한 바 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유사한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아마존의 앤디 재시 CEO가 지난달 "생성형 AI와 AI 기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업무처리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면서 "향후 몇 년 안에 전체 사무직 인력이 감소할 것"이라고 말해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오픈AI 경쟁사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지난 5월 "AI가 향후 5년간 모든 신입 사무직 일자리의 절반을 없애고 실업률을 최대 20%까지 급등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정·재계 인사들이 노동시장 상황에 대해 사탕발림 같은 발언을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외국어 학습 서비스 업체인 듀오링고는 AI가 처리할 수 있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계약 직원 고용을 점진적으로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업체 쇼피파이는 직원들에게 신규 인력 충원 요청 시 AI가 그 일을 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설명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신 제조사 모더나는 직원들에게 인력 추가 없이 신제품을 출시하도록 했다.

프리랜서 중개 플랫폼 피버의 미카 코프먼 CEO는 대다수 직업군이 영향을 받을 것임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프로그래머·디자이너·데이터 과학자·변호사·판매직 등 당신의 직업과 상관 없이 AI가 오고 있다"고 했다.

일반인들의 생각보다 더 많은 일자리가 파괴될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이러한 우려가 지나치다는 견해도 있다.

구글 AI조직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CEO는 일자리 종말(jobpocalypse)에 대해 지나치게 우려하지 않는다면서 AI에 일자리를 빼앗기는 것보다 AI에 대한 통제 상실이 더 우려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오픈AI의 브래드 라이트캡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신입 일자리가 대규모로 대체된다는 증거는 아직 안 보인다"고 했다. IBM의 아빈드 크리슈나 CEO는 AI를 이용해 일자리 수백개를 대체했지만 프로그래머·영업직 채용은 늘렸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