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선캠프도 매크로로 여론조작했다"
새누리 전 실장 "대선후 청와대로 들어갔다. 최소한 4~5명"
박철완 전 새누리당 선대위 디지털종합상황실장은 6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캠프에 참여하는 동안 2007년부터 새누리당 선거때마 온라인 활동을 계속했던 사람들이 제법 많았다"고 밝혔다.
박 전 실장은 구체적으로 "댓글 대응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있었고 대응을 하라고 하는 사람들을 목격한 적이 있다"며 "당시 새누리당 당직자들조차 여론조작에 상응하는 불법적 행위를 하지 말라고 제가 반복적으로 경고했지만 '이걸 왜 못하냐', '왜 불법이냐'고 반문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본부 SNS팀에서 김철균 본부장 말도 듣지 않는 특정인들이 있었다"며 "그쪽같은 경우 (당시) 지시가 떨어지면 그쪽 작업을 하는 팀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려가지고 (트위터) RT회수가 수백 회에서 거의 1000회 가깝게 돌아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론조작 팀들의) 전체적 숫자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서로서로 모르게 운영이 됐고 카톡방에 모여서 자기들이 트위터 지시를 하든지 댓글 지시를 하든지 다양한 정책을 지시하는 것"이라며 "신분은 민간인도 있고 당원도 있고 다양하다"고 밝혔다.
그는 더 나아가 박근혜 정권 출범후 "2012년 불법적인 온라인 선거운동을 했던 사람들 중에서 상당수가 BH(청와대) 홍보수석실로 흘러들어갔다. 그렇기 때문에 2014년 지방선거 때도 같은 패턴이 반복됐다고 보셔도 될 것 같다"며 "누구나 들으면 알 수 있는 유명한 사람들이 다라고 보면 되고 제가 파악한 바로는 최소 4~5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공보단장이었던 이정현 의원이 자신은 몰랐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선 "자기가 '몰랐다'는 건 기술을 몰랐다는 얘기로 보면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아울러 “규모가 작은 정당에서 많이 쓰는 걸 목격한 적이 있다”며 "매크로 댓글 작업은 정당이나 이념, 좌우없이 시작된 것이고 오히려 군소정당 출신으로 매크로 작업하던 사람들이 거기서 출발해 주요 정당으로 옮겨갔다 보셔도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