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일 "종전선언에 중국이 꼭 주체로 들어가는 것이 필요한지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에 대해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 평화협정은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고, 종전선언은 전쟁을 끝내고 적대관계와 대립관계를 해소하겠다는 그야말로 정치적 선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이미 우리나라나 미국과 수교를 해 적대적 관계가 해소됐다"고 덧붙여, 종전선언때 중국 배제를 거듭 시사했다.
그는 그러나 평화협정 체결과 관련해선 "평화협정의 경우에는 남북이나 북미만의 문제가 아니고 중국의 역할이 상당히 크다. 3자 혹은 4자가 추진하겠다는 얘기는 중국의 의향을 물어보겠다는 것"이라며 "중국을 배제하거나 하는 그런 의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자들이 이에 '종전선언에서는 중국이 빠질 수 있고, 평화협정은 중국의 선택이라는 뜻인가'라고 재차 묻자, 그는 "그렇다. 단 '종전협정'이 아닌 정치적 선언인 '종전선언'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정전협정을 없애는 방식으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두 가지를 내세워 절차를 밟아가려는 것이다. 정전협정을 바로 평화협정으로 대체하기 어려우므로 중간 단계로 종전선언을 하는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이같은 청와대 입장은 종전선언에 종전협정 체결 주체인 중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중국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미묘한 긴장을 낳고 있다.
중국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협정 서명 당사자가 마크 클라크 유엔군 총사령관, 김일성 북한군 최고사령관과 함께 펑더화이(彭德懷) 중국 인민지원군 사령관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의 불만은 남북정상회담후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대통령, 아베 일본총리, 푸틴 러시아대통령과 잇따라 통화를 가졌으나 아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는 통화를 갖지 못한 데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2일 북한을 방문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해석되고 있다.
중국은 오는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도 시진핑 주석 대신 리커창 총리가 참석하기로 했다.
중국은 대국이다. 한국은 낀나라고.. . 한국의 행보는, 중국이 생각하는 것처럼, 중국을 도외시 하는 것이 전혀 아니다. . 최 우선 순위가 북-미, 관계이고, 한국은 이 둘의 중재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 . 중국은, 너른 마음으로, 관망했으면 한다. 다음 단계에는, 한국이 중국을 best guest로 대우할 것이다.
이제 한반도 양키군이 있을 필요 없다. 양키는 북미협상에 의해 제 집으로 꺼질거다. 우리는 이제 조선에 의해 양키마수에서 해방되는 거다. 핵폐기는 없다 동결만 있을 뿐이다. 이미조선은 핵무력을 완성했다. 핵보유국이 핵폐기하는건 상대가 폐기했을 때나 가능한거다. 양키가 핵폐기 안하면 조선도 안하는거다. 알아들어 쳐먹었냐. 좀비들아!
유엔군사령관(미국)과 중국사령관 북한의 김일성 주석 이렇게 세 나라가 맺은게 정전협정이라면 당연히 그 정전을 끝내는 평화협정도 세나라가 참여하는게 맞다. 그게 상식인거다...뭔 잡소리가 이렇게 많지...한국은 당사자도 아닌데...중국과 한국, 중국과 미국이 국교정상화하 한거하고는 다른 문제다..
1953-07-27일 22:00시부터 효력발생한다 [작성자]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 미국 육군 대장 마크 W. 클라크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김일성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 팽덕회 [참석자] 국제연합군 대표단 수석대표 : 미국 육군 중장 윌리엄 K. 해리슨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 대표단 수석대표 : 조선인민군 대장 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