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4일 전화통화를 갖고 종전선언과 정전협정 전환 과정에서 한·중 두 나라가 긴밀히 소통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해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이 전했다.
이는 4.27 남북정상회담후 8일만의 늑장 통화다. 문 대통령은 앞서 한반도 주변 4강의 트럼프 미국대통령, 아베 일본총리, 푸틴 러시아대통령과는 통화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부터 35분 동안 이뤄진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은 시 주석의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 덕분"이라며 "특히 김정은 위원장의 3월 하순 방중 때를 비롯한 여러 계기에 북한의 비핵화를 견인하고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에 대해 지지 입장을 표명해준 것이 큰 힘이 되었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이에 시 주석은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와 판문점선언의 발표를 축하하고, 이런 성과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정세의 긍정적 변화를 주도하는 데 있어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고 화답했다.
시 주석은 그러면서 "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왕이 외교부장을 만나 남북관계를 개선하려는 적극적인 용의를 표명했고,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등 비핵화 의지를 다시 천명했으며 종전 선언을 통해 한반도의 적대적인 역사를 끝내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밝혔다"며, 접촉 결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및 평화협정 의지가 강함을 전했다.
시 주석은 이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북미정상회담의 성패가 관건인 만큼 앞으로도 한중 양국이 긴밀히 소통하고 공조를 유지·강화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서 시 주석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그리고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기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두 정상은 양국간 교류협력도 확대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양국정부가 보다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양국 국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사업을 보다 많이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고, 시 주석은 "중국도 한중간 교류협력을 중요시 하고 있으며 두 정상이 합의한 대로 인적·문화적 교류에서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같이 한중간 통화가 늦어진 것은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과정에 '중국 패싱'이 이뤄질 경우 북한이 미국과의 수교 과정에 베트남처럼 '친미국가화'하면서 미국의 '대중 봉쇄'가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중국의 의구심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을 낳아왔다. 특히 청와대가 남북미 3국간 '종전선언' 방침을 밝히면서 중국의 우려와 의구심은 더욱 커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데니스 와일더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관리들은 베트남이 미국의 좋은 친구가 되면서 중국과 멀어진 것과 같은 일이 북한에서도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평화협정 체결시 한반도에 미군이 더이상 주둔하지 않기를 원할 것"이라며 "만약 주한미군 철수로 이어지지 않는 통일이라면 중국은 지금과 같은 분단된 한반도를 선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한미 정상 통화를 통해 일단 양국간 긴장은 완화되는 분위기이나,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갈등은 재연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어 귀추가 주목된다.
일본 자위대는 기뢰제거등의 방어체계는 잘되어있지만.. 공격용무기는 미국이 철저히 수출제한하여 없는것과 마찬가지인데..주한미군철수는 일본자위대의 공격용 무기를 미국이 수출제한을 풀어준다는 의미가있다.. 이것이 일본이 주한미군철수를 간절히 원하는 이유고 일본의 재무장기회다.. 당연히 일본극우의 지원을받는 한국의 뉴라이트도 같은 입장일것이고..
땅덩어리는 커서 대국이라 하는데 중국의 지도자들은 한마디로 소인배에 불과하지 않아. 아주 비근한 예를 들어보자, 중국 단체관광객 방한에 대해 한심스럽기 그지없다 풀려면 한방에 풀던지 해야지 이게 뭐냐 짤끔찔끔.. 그따위 소인배 노룻을 하니까 주변국가의 외면을 당하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