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도 朴대통령 '오기 인사'에 질렸다!
"'거짓말 정성근'을 정부 대변인 시키겠다니...국격 추락"
<조선일보>는 16일 사설을 통해 "정성근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한 위증은 그의 말대로 '결과적인 거짓말'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없는 사실을 지어냈다가 스스로 거둬들인 것"이라며 "여당 사람들조차 고개를 저었다. 이런데도 청와대는 '해명을 들었다'며 임명을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고 어이없어해 했다.
사설은 이어 "임명장을 주는 것은 대통령의 권한이지만 그 전에 먼저 이 문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야 한다.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포기했으니 정 후보자는 밀어붙여도 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 옳지 않다"며 "국민이 그렇게 양해해 주기에는 그동안 청와대의 인사 실패가 너무 크고 잦았다"고 질타했다.
<조선>은 1면 '팔면봉'을 통해서도 "박 대통령, 위증 논란 정성근 장관 후보자 임명할 듯. 여권서도 도대체 그 이유를 모르겠다는 사람 많은데..."라고 개탄했다.
<중앙일보>도 이날자 사설 <'거짓말 후보'가 정부 대변인 될 수 있나>를 통해 "정 후보자는 국회 청문회에서 아파트 거주와 전매에 관한 명백한 사실을 노골적으로 위증했다. 생중계되는 가운데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을 한 것이다. 실수나 잘못보다 거짓은 공직자에게 더 심각한 하자"라면서 "문체부 장관은 공식적인 정부 대변인이다. 거짓말의 공직자가 대한민국 정부의 입을 맡을 수는 없다"고 꾸짖었다.
사설은 "대통령의 임명 강행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상당수 여론과 거리감이 있다는 점에서 불통의 우려를 다시 낳고 있다"며 "대통령으로서는 장관 인사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는 것이 국정 운영에 장애가 된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그리고 정성근 후보자의 결격 사유가 수용될 만한 것이라고 생각했을 수 있다. 그렇다면 당당하게 그런 판단을 밝힐 필요가 있다. 그것이 국민과 야당에 대한 예의다. 이런 절차도 없이 대통령이 조치를 강행하니 불통에 대한 우려는 없어지지 않는 것이다. 설명이 두렵다는 건 스스로 자신이 없다는 것이다. 국정의 동력은 자신감이 핵심"이라고 박 대통령을 힐난하기도 했다.
<동아일보>도 이날자 사설 <'거짓말 정성근’ 임명 강행하면 국격은 어찌 되나>를 통해 "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아예 거짓말을 하겠다고 작정하고 나온 모습이었다. 음주운전과 자녀의 불법 유학 의혹도 드러났다. 새정치민주연합 안민석 의원은 청문회 정회 중에 가진 회식 때 문화부 간부들도 참석해 ‘충성 맹세 폭탄주’를 돌렸다고 주장했다"며 "그의 청문회 점수는 낙제점이었다"고 단언했다.
사설은 이어 "문화부 장관은 대내외적으로 정부를 대표하는 공식 대변인으로 국정 홍보를 담당한다"며 "국민이 모두 보는 앞에서 거짓말을 했던 정 후보자가 만일 문화부 장관이 되고 정부 대변인을 맡는다면 국격이 떨어지는 일이 아니겠는가"고 반문했다.
사설은 "김 후보자의 낙마 못지않게 정 후보자의 임명 강행은 청와대가 빚은 ‘인사 참사’로 기록될 공산이 크다. 이런 불통의 정치로는 야당을 포용하기는커녕 여당도 추스르기 쉽지 않다"며 "이제라도 정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나 박근혜 2기 내각의 출발을 돕기 바랄 뿐"이라며 정 후보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조중동 보도와 관련, "오늘 아침 보수지나 진보지 할 것 없이 국격까지 운운하면서 물러가야 한다고 하는 것은 아마 최근 박근혜 대통령께서 가장 원하는 국론통일, 국민통합이 정성근 후보자로부터 이뤄졌다"며 박 대통령을 비꼬았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서도 "국론통일 국민통합 일거에 이뤄지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성근 감싸기'에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도 갸우뚱! 조중동 한경한 등 모든 조간신문 기사와 사설로 정성근 문화장관후보자를 노골적으로 반대하는데, 그래도 대통령의 인사참사는 계속? 거두어주옵소서"라고 힐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