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교역조건, 2008년 금융위기 수준으로 악화
원자재값은 급등하고 주요수출품 단가는 하락
국제 원자재값은 폭등하나 반도체값 등 수출품목 가격은 하락하면서 상품교역조건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당시의 최악의 수준으로 곤두박질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의 '1분기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지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75.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떨어졌다. 지수 75.1은 1988년 첫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던 2008년 4분기와 같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란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며 2005년(100)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2005년에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상품 100개를 수입할 수 있었다면 1분기에는 75.1개만 사들일 수 있게 교역조건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작년 1분기(80.2) 이후 4분기 연속으로 하락하고 있어, 세계경기침체 장기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교역조건이 나빠진 것은 수입단가지수의 경우 원유 등 원자재와 소비재를 중심으로 7.3% 상승한 반면, 수출단가지수는 반도체, 전기·제품이 하락을 주도해 상승폭이 0.5%에 그쳤기 때문이다.
14일 한국은행의 '1분기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지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75.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떨어졌다. 지수 75.1은 1988년 첫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던 2008년 4분기와 같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란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며 2005년(100)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2005년에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상품 100개를 수입할 수 있었다면 1분기에는 75.1개만 사들일 수 있게 교역조건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작년 1분기(80.2) 이후 4분기 연속으로 하락하고 있어, 세계경기침체 장기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교역조건이 나빠진 것은 수입단가지수의 경우 원유 등 원자재와 소비재를 중심으로 7.3% 상승한 반면, 수출단가지수는 반도체, 전기·제품이 하락을 주도해 상승폭이 0.5%에 그쳤기 때문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