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청와대의 <문화일보> 절독은 신종 언론탄압"
"선정적인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
한나라당이 청와대의 <문화일보> 절독을 신종 언론탄압으로 규정하며 맹비난하고 나섰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5일 논평을 통해 "청와대가 <문화일보>의 연재소설인 '강안남자'의 선정성을 이유로 문화일보의 절독을 선언했다"며 "그러나 '강안남자'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큼 선정적인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이다. 청와대가 사회적 윤리까지 재단하려 드는 것은 권력의 횡포"라고 비난했다.
나 대변인은 "청와대는 그동안 정권에 비판적 논조를 견지해온 <문화일보>를 눈엣가시처럼 못마땅하게 여겨왔다"며 "참여정부들어 국가기관이 기사의 내용을 문제삼아 언론중재위에 제소한 건수에서 문화일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조동문'이라는 세간의 신조어의 사실성을 뒷받침해준 셈이다.
나 대변인은 "연재소설의 선정성을 이유로 절독하겠다고 했지만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 신종 언론탄압이다"라며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5일 논평을 통해 "청와대가 <문화일보>의 연재소설인 '강안남자'의 선정성을 이유로 문화일보의 절독을 선언했다"며 "그러나 '강안남자'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큼 선정적인지에 대한 판단은 시민사회의 몫이다. 청와대가 사회적 윤리까지 재단하려 드는 것은 권력의 횡포"라고 비난했다.
나 대변인은 "청와대는 그동안 정권에 비판적 논조를 견지해온 <문화일보>를 눈엣가시처럼 못마땅하게 여겨왔다"며 "참여정부들어 국가기관이 기사의 내용을 문제삼아 언론중재위에 제소한 건수에서 문화일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조동문'이라는 세간의 신조어의 사실성을 뒷받침해준 셈이다.
나 대변인은 "연재소설의 선정성을 이유로 절독하겠다고 했지만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 신종 언론탄압이다"라며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