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더블딥' 우려 확산, 다우지수 1만선 붕괴

'부동산 더블딥'이 '실물경제 더블딥'으로 확산 우려

'더블딥' 우려가 확산되면서 26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지수 10,000선이 붕괴됐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4.25포인트(0.74%) 하락한 9,985.81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10,000선이 붕괴된 것은 지난 7월6일이래 50일만의 일이다.

S&P 500지수도 8.11포인트(0.77%) 떨어진 1,047.22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 종합지수도 2,118.69로 22.85포인트(1.07%) 하락했다.

이날 주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가 47만3천명으로 전주에 비해 3만1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오면서 상승세로 출발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최근 분명해진 '부동산 더블딥'이 '실물경제 더블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하락세로 반전됐다.

특히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교수가 3분기 성장률을 종전 예상치 2%에서 0~0.7%로 크게 낮추면서 더블딥 도래 확률이 종전의 25%에서 40%로 높아졌다는 비관적 전망을 한 것이 시장이 결정적 타격으로 작용, 결국 다우지수 10,000이 붕괴되기에 이르렀다.

시장의 관심은 27일 발표될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얼마로 나올 것인가로 쏠려있다. 미정부는 앞서 추정치를 2.4%라고 발표했으나, 로이터 조사 등 시장에서는 1.4%로 하향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1%대 초반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그럴 경우 시장은 더 큰 충격상태에 빠져들면서 주가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얼마 전까지만 해도 더블딥 가능성을 일축하던 시장 분위기는 점점 더블딥이 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로 바뀌고 있으며, 경기회복을 주장하던 낙관론자들조차 회복 기조는 안정적이나 회복세에 가속이 붙지는 않을 것 같다는 신중한 자세로 바뀌고 있다.
임지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4 0
    111

    미국은 자연스레 붕괴되면서 내려가네
    미국의 쇠략은 그간 도둑질로 싸게 풍족하게 ㅆ던
    석유 지하자원등의 구입처 중동을 잃어버리게 되어서
    물가는 치솟는 결과로 미국을 좀더 옥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