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김대중 "MB, '실패자' 될망정 '배신자' 돼선 안돼"
"한미관계, 총체적 불신으로 퇴색되지 않을까 걱정"
김대중 <조선일보> 고문이 최근 촛불시위로 크게 동요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대선때 내건 '우회적 공약'의 관철을 압박하고 나섰다.
김 고문은 16일자 <조선일보>에 실은 'MB 일생일대의 결단'을 통해 이대통령의 대표공약인 한반도 대운하, 공기업 민영화 등이 사실상 물 건너갔음을 지적한 뒤, "그가 내건 야심 찬 '개혁안'들이 '촛불'에 밀려 이처럼 스스로 포기하고 덩어리째 무산되고 만다면 이 대통령에게 남는 것은 무엇인가? MB적(的)인 것들이 없어진 MB의 가치는 과연 어떤 것인가?"라고 물은 뒤, "더구나 외국인의 관점에서 볼 때 수도 서울에 몇만, 몇십만 명이 시위했다고 대통령이 국정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후퇴를 하는 것으로 보였다면 그의 대외 신인도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한·미 관계는 쇠고기 문제를 떠나 이 정부에 대한 총체적 불신으로 퇴색되지 않을까도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 대통령은 실패자가 될 망정 배신자가 돼서는 안 된다. '못난 대통령'으로 남을 망정 포퓰리스트 대통령이 돼서는 안 된다"며 "그는 이번 촛불시위에서 보았듯이 자신에게 투표한 사람들의 신뢰에도 보답하지 못한 실수를 범했고 국민의 자존심과 건강권을 허술히 다룬 잘못을 했지만, 그렇다고 우회전 신호를 켜고 좌회전하는 '제2의 실수'를 저질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대선때 내세운 '우회적 공약'을 관철하라는 주문인 셈.
그는 "남은 것은 이 대통령이 정치적 결단을 내리는 일"이라며 "정치적 도박이라고 해도 좋다. 국민에게 시간을 달라고 하고 최선을 다해, 사력을 다해 자신이 선택됐던 '의미와 가치'에 충실하게 임한 뒤 자신의 거취를 결정한다는 각오로 국민 앞에 서야 한다"며 대선 공약을 소신껏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촛불 분위기'의 연장선상에서 5년을 지리멸렬하게 가는 것은 대통령의 길이 아니다. 하는 일마다 시청 광장에 모인 반대자들이 자신에게 이렇게 하라, 하지 마라 하며 '명령'하는 수모를 당하며 사는 것은 대통령의 삶이 아니다"라며 거듭 소신 있는 국정운영을 주문했다.
김 고문은 16일자 <조선일보>에 실은 'MB 일생일대의 결단'을 통해 이대통령의 대표공약인 한반도 대운하, 공기업 민영화 등이 사실상 물 건너갔음을 지적한 뒤, "그가 내건 야심 찬 '개혁안'들이 '촛불'에 밀려 이처럼 스스로 포기하고 덩어리째 무산되고 만다면 이 대통령에게 남는 것은 무엇인가? MB적(的)인 것들이 없어진 MB의 가치는 과연 어떤 것인가?"라고 물은 뒤, "더구나 외국인의 관점에서 볼 때 수도 서울에 몇만, 몇십만 명이 시위했다고 대통령이 국정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후퇴를 하는 것으로 보였다면 그의 대외 신인도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한·미 관계는 쇠고기 문제를 떠나 이 정부에 대한 총체적 불신으로 퇴색되지 않을까도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 대통령은 실패자가 될 망정 배신자가 돼서는 안 된다. '못난 대통령'으로 남을 망정 포퓰리스트 대통령이 돼서는 안 된다"며 "그는 이번 촛불시위에서 보았듯이 자신에게 투표한 사람들의 신뢰에도 보답하지 못한 실수를 범했고 국민의 자존심과 건강권을 허술히 다룬 잘못을 했지만, 그렇다고 우회전 신호를 켜고 좌회전하는 '제2의 실수'를 저질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대선때 내세운 '우회적 공약'을 관철하라는 주문인 셈.
그는 "남은 것은 이 대통령이 정치적 결단을 내리는 일"이라며 "정치적 도박이라고 해도 좋다. 국민에게 시간을 달라고 하고 최선을 다해, 사력을 다해 자신이 선택됐던 '의미와 가치'에 충실하게 임한 뒤 자신의 거취를 결정한다는 각오로 국민 앞에 서야 한다"며 대선 공약을 소신껏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촛불 분위기'의 연장선상에서 5년을 지리멸렬하게 가는 것은 대통령의 길이 아니다. 하는 일마다 시청 광장에 모인 반대자들이 자신에게 이렇게 하라, 하지 마라 하며 '명령'하는 수모를 당하며 사는 것은 대통령의 삶이 아니다"라며 거듭 소신 있는 국정운영을 주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