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우리금융 "생산적·포용금융에 5년간 80조원 투입"

임종룡 "이자 장사 비판 수용…새로운 길 모색"

우리금융그룹이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 금융 확대를 위해 2030년까지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29일 오전 서울 중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재명 대통령의 '이자 장사' 비판에 대해 "이자 장사 지적의 이면에는 부동산 금융에 치중하는 데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며 "이런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며 이같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73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 추진 방안과 7조원 규모의 포용 금융 추진 방안으로 구성됐다.

우선 생산적 금융을 위해선 국민성장펀드에 10조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전체 150조원 중 민간 몫 75조원의 약 13%에 달하는 규모를 책임지겠다는 것.

아울러 그룹 공동투자펀드 1조원, 증권 중심의 모험자본투자 1조원, 자산운용 계열사 펀드 5조원 등 7조원 규모의 자체 투자를 이행하기로 했다.

이 같은 17조원의 투자는 우리금융의 지난 5년간 투자 실적의 2배 규모에 해당한다.

아울러 56조원의 융자로 지난 5년간 4%에 그친 기업대출 성장률을 향후 10%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포용 금융을 위해선 서민금융대출 등 상생금융 확대에 7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특히 저신용 차주 등의 금융 비용을 덜어주는 데 적극 나서, 외부 신용등급(CB) 7등급 이하 저신용자에게 0.3%포인트(p)의 금리 인하를 새로 적용하고, 기존 성실 상환 고객 중 은행 자체 신용등급(CSS) 4∼7등급에는 0.4%p, 8등급에는 1.5%p의 금리 인하를 제공할 방침이다.

임 회장은 "수치를 나열한 금융지원이 아니다"라며 "우리금융이 선구적 역할을 해보겠다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박도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