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재벌개혁, 인위적 강제조치 안한다"
"비정규직-기간제 교사 등 공공부문 조정하고 예산 투입"
장 실장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재벌개혁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성공기업, 새로운 중소기업의 성공신화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재벌개혁 문제는 이미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인 김상조 후보가 여러의견을 말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기조와 내 생각이 다르지 않다"며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소상공이든 재벌을 개혁한다는 것이 '두들겨 팬다'는 것은 전혀 어울리지 않아서 과거에도 그런 질문이 있을 때마다 우리가 함께 잘살기 위해 일자리, 기업의 생태계 균형이 잡혀져야 한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공부문 81만개 일자리 공약에 대해선 "지금 우선적으로 정부가 할 수 있는 부분이 공공부문 일자리"라며 "결국 절대다수 일자리는 민간부문에서 이뤄져야 하지만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왜곡됐던 고용형태, 일이 지속되는데도 사람을 바꾸는 비정규직, 기간제 교사를 조정하고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민간부문에서 일자리를 창출되도록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하겠지만 당장은 젊은이들이 너무 일자리를 얻기각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창출토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임명과정에 대해선 "문재인 대통령과는 개인적으로 인연이 없다. 지난 2012년 대선 때 캠프에 참여해서 정책 도와달라 했는데 다들 알다시피 안철수 후보를 선택했고, 민주당 비대위원장 맡아달라 했을 때 그 때도 또 거절했다"며 "(대통령이) 이번에 직접 전화를 했는데 정말 이 정부가 무언가 변화를 일으키고 국민들 눈높이에 맞춰 일을 일으키겠다는 의지가 있구나, 그게 내 마음을 흔들어놨고 응낙을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