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미FTA 협상 이틀 연장

농업부문 접근, 자동차-섬유 막판 진통

막판 진통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시한이 4월 2일 새벽 1시로 48시간 연장됐다.

협상시한 이틀 연장

김종훈 한미FTA 수석대표는 31일 오전 7시40분 브리핑을 갖고 "양측은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공통 인식에 따라 의회 등과 긴밀히 협의해 당초 예정했던 협상시한을 31일 오전 1시에서 48시간을 연장해 추가적인 협상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측은 조금 전에 가진 협의에서 우리측에 이를 공식적으로 알려왔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양측은 어제밤 고위급 협의에서 협상의 진도와 잔여쟁점에 대한 입장차, 그리고 당초 예정시한을 넘겨 추가 협상을 가질 경우 입장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당초 한미 양국이 설정했던 FTA 협상 시한은 한국시간 31일 새벽 1시, 의회 통고 예정시한은 31일 오전 7시였다.

김 대표는 "4월2일 새벽 1시까지 잔여 쟁점의 타결이 이뤄질 경우 한국시간 월요일 오전 6시(워싱턴 시간 오후 5시)에 미측이 의회에 협상의사를 통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30일 밤 한미FTA 협상마감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협상장인 하얏트호텔에는 한국측 협상팀원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논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측 자동차-섬유 최종안 통고

협상 시한 연장은 미국측 요구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토니 브래토 백악관 부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이메일 성명을 통해 "(한미 FTA) 협상이 잘 돼가고 있지 않다"며 "향후 몇시간내에 협상에 큰 진전이 있다는 신호가 없으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막판 진통에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미 양국 모두 협상이 파국으로 끝나서는 안된다는 판단아래 최종시한에 대한 유권해석을 유연히 하는 방식으로 일단 협상을 이틀 연장, 막판 절충을 시도하기로 했다.

협상단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은 농업 분야에서도 유연성을 보이면서 일부 품목은 상당한 접근을 보였다. 그러나 쌀 개방은 다루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지나, 쇠고기 문제에서는 어느 정도 양보안을 내놓았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전날 자동차, 섬유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최후 통첩 형태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