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후 금강에서도 농지 붕괴 등 역행침식
지천마다 농지 붕괴 등 역행침식 피해 심각
낙동강에 이어 금강에서도 4대강사업후 농경지가 붕괴되는 등 역행침식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27일 공주, 청양, 부여 일대 금강 본류로 연결되는 지천하류 현장조사 발표자료를 통해 "4대강사업이 집중적으로 진행된 공주, 부여 일대 금강의 환경변화가 심각하고 작년 준공 이후 대규모 녹조 발생, 물고기 떼죽음에 이어 역행침식 피해까지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백제보 아래 우안으로 합류하는 지천 하류(부여 규암면 호암리)의 경우 금강 본류로부터 1km지점 지천 하류 우안과 맞닿은 농경지가 150m정도 구간, 100평 면적이 무너져 내려 농경지의 비닐하우스 시설들이 공중에 떠있고 식재되었던 소나무들이 하천 바닥에 처박혀 있었다.
청양 치성천의 경우는 금강 본류로부터 2km 지점의 치성천 하류 가마교(청양 목면 화양리)교량 주변의 저수호안 보호블럭들이 군데군데 붕괴되어 있고, 쇄굴과 침식도 많이 진행됐다.
공주 유구천은 유구천 하류의 보 일대 사면과 바닥들이 유실되고 쇄굴되고 있었다.
이 단체는 "4대강 사업이 시작되면서 역행침식이 시작돼 완공 이후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어 우기때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금강의 재자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27일 공주, 청양, 부여 일대 금강 본류로 연결되는 지천하류 현장조사 발표자료를 통해 "4대강사업이 집중적으로 진행된 공주, 부여 일대 금강의 환경변화가 심각하고 작년 준공 이후 대규모 녹조 발생, 물고기 떼죽음에 이어 역행침식 피해까지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백제보 아래 우안으로 합류하는 지천 하류(부여 규암면 호암리)의 경우 금강 본류로부터 1km지점 지천 하류 우안과 맞닿은 농경지가 150m정도 구간, 100평 면적이 무너져 내려 농경지의 비닐하우스 시설들이 공중에 떠있고 식재되었던 소나무들이 하천 바닥에 처박혀 있었다.
청양 치성천의 경우는 금강 본류로부터 2km 지점의 치성천 하류 가마교(청양 목면 화양리)교량 주변의 저수호안 보호블럭들이 군데군데 붕괴되어 있고, 쇄굴과 침식도 많이 진행됐다.
공주 유구천은 유구천 하류의 보 일대 사면과 바닥들이 유실되고 쇄굴되고 있었다.
이 단체는 "4대강 사업이 시작되면서 역행침식이 시작돼 완공 이후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어 우기때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금강의 재자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