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2년만에 상승 반전. 재건축이 주도
서울 전세값도 계속 상승세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 조사결과, 2월 서울 아파트값이 1월에 비해 0.03% 올라 지난 2011년 2월(0.15%) 이후 2년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5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값 상승은 강남, 송파, 서초, 강동 4개구가 견인했다. 특히 강동구가 0.54%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한동안 뜸했던 매수세가 고덕주공2단지, 둔촌주공 등 재건축 아파트 위주로 늘어나면서 아파트 값이 상승한 것.
강동구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59㎡가 5억원에서 3천만원 올라 5억3천만원,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 52㎡는 5억원에서 2천5백만원 올라 5억2천5백만원이다.
강남, 송파, 서초 등 강남3구도 재건축 아파트의 거래 분위기가 호전되면서 전체적인 아파트 값 상승을 이끌었다. 강남구 0.02%, 송파구 0.30%, 서초구 0.14%의 변동률을 기록.
송파구는 최근 들어 가락시영 아파트 값이 크게 올랐다. 문의에만 머물렀던 매수세가 거래로 이어지면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매도호가를 올리는 상황이다.
가락동 가락시영1차 49㎡가 5억1천만원에서 4천2백50만원 올라 5억5천2백50만원, 가락시영2차 42㎡는 5억5백만원에서 4천2백50만원 올라 5억4천7백50만원이다.
아파트 전셋값도 0.14% 올랐으나 1월(0.29%)보다 상승폭이 낮아졌다.
전세값은 성북구가 0.41%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동(0.36%)·송파(0.33%)·강남(0.19%)·용산(0.18%)·서초(0.16%)·광진구(0.14%) 순이다.
그러나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월 서울의 전체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는 0.31% 떨어졌다.
5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값 상승은 강남, 송파, 서초, 강동 4개구가 견인했다. 특히 강동구가 0.54%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한동안 뜸했던 매수세가 고덕주공2단지, 둔촌주공 등 재건축 아파트 위주로 늘어나면서 아파트 값이 상승한 것.
강동구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59㎡가 5억원에서 3천만원 올라 5억3천만원,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 52㎡는 5억원에서 2천5백만원 올라 5억2천5백만원이다.
강남, 송파, 서초 등 강남3구도 재건축 아파트의 거래 분위기가 호전되면서 전체적인 아파트 값 상승을 이끌었다. 강남구 0.02%, 송파구 0.30%, 서초구 0.14%의 변동률을 기록.
송파구는 최근 들어 가락시영 아파트 값이 크게 올랐다. 문의에만 머물렀던 매수세가 거래로 이어지면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매도호가를 올리는 상황이다.
가락동 가락시영1차 49㎡가 5억1천만원에서 4천2백50만원 올라 5억5천2백50만원, 가락시영2차 42㎡는 5억5백만원에서 4천2백50만원 올라 5억4천7백50만원이다.
아파트 전셋값도 0.14% 올랐으나 1월(0.29%)보다 상승폭이 낮아졌다.
전세값은 성북구가 0.41%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동(0.36%)·송파(0.33%)·강남(0.19%)·용산(0.18%)·서초(0.16%)·광진구(0.14%) 순이다.
그러나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월 서울의 전체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는 0.31% 떨어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