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재정-김만복-백종천 "'비밀 녹취록' 존재하지 않아"
"정문헌에게 엄중하게 책임 물을 것"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김만복 전 국정원장,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실장 등 2007년 남북정상회담때 공식수행했던 참여정부 인사들은 10일 "정문헌 의원이 주장한 '비밀녹취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거듭 부인했다.
이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사이에는 별도의 어떤 ‘단독회담’도 없었고 ‘비밀합의’도 없었다. 정 의원이 주장하는 10월 3일 오후 3시는 정상회담의 오후 회담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시간이었고, 이 회의에서는 구체적으로 이미 제안된 남북공동사업계획들에 대한 논의를 했고, 회의 진행은 모두 남북 간의 공식적인 합의에 의하여 이뤄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정상회담의 오전·오후 두 차례 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정문헌 의원이 주장한 ‘여러 가지 허위사실’을 언급한 바가 전혀 없다"며 "우리는 이제 대선을 두 달여 남겨놓은 시점에서 왜 이런 황당한 발언을 사실인 것처럼 말하는 것인지, 무슨 정치적 의도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북풍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들은 "어떤 이유에서든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우리는 정문헌 의원에게 사실을 왜곡하여 발언함으로써 이미 세상을 떠난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고 정상회담의 권위와 가치를 무너뜨린 데 대해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법적대응을 경고했다.
이들은 보수언론들을 향해서도 "앞으로의 남북관계 그리고 동북아 평화를 위하여 일부 언론처럼 정문헌 의원의 일방적이며 왜곡된 주장을 사실인양 몰아가는 보도를 즉각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우리 사회가 더 이상 이런 허위사실에 농락당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사이에는 별도의 어떤 ‘단독회담’도 없었고 ‘비밀합의’도 없었다. 정 의원이 주장하는 10월 3일 오후 3시는 정상회담의 오후 회담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시간이었고, 이 회의에서는 구체적으로 이미 제안된 남북공동사업계획들에 대한 논의를 했고, 회의 진행은 모두 남북 간의 공식적인 합의에 의하여 이뤄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정상회담의 오전·오후 두 차례 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정문헌 의원이 주장한 ‘여러 가지 허위사실’을 언급한 바가 전혀 없다"며 "우리는 이제 대선을 두 달여 남겨놓은 시점에서 왜 이런 황당한 발언을 사실인 것처럼 말하는 것인지, 무슨 정치적 의도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북풍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들은 "어떤 이유에서든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우리는 정문헌 의원에게 사실을 왜곡하여 발언함으로써 이미 세상을 떠난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고 정상회담의 권위와 가치를 무너뜨린 데 대해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법적대응을 경고했다.
이들은 보수언론들을 향해서도 "앞으로의 남북관계 그리고 동북아 평화를 위하여 일부 언론처럼 정문헌 의원의 일방적이며 왜곡된 주장을 사실인양 몰아가는 보도를 즉각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우리 사회가 더 이상 이런 허위사실에 농락당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