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도급 57위 우림건설, 결국 법정관리 신청

3년간 워크아웃 끝에 결국 청산의 길 택해

도급순위 50위권의 중견 건설업체 우림건설이 부동산 장기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특히 우림건설은 지난 2009년 초부터 워크아웃에 들어간 상태여서, 한계상황에 도달한 건설사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우림건설은 지난 1일 서울중앙지법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우림건설 채권단은 지난달 이후 출자전환과 신규 자금 지원 등을 논의했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법원은 서류심사를 거쳐 우림건설의 정리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한다.

1983년 설립된 우림건설은 시공능력평가액 57위 업체로 '우림필유'와 '카이저팰리스'라는 브랜드로 2000년 이후 수도권 일대에서 주택사업을 벌이며 성장했으나, 2008년이래 부동산 장기불황이 시작되면서 주택사업에만 의존해온 취약한 구조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파산하기에 이르렀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1 5
    당연

    아파트 부양한 슨상 개굴이 없으니

  • 14 0
    천추의 한

    천추의 한이다 처음부터 법정관리를 했으면 그 많은 재산을 지켰을 것인데... 워크아웃 신청하여 알짜 재산 채원은행에서 다 팔아 가져같으니 결국 이명박정부에 놀아 난것이다. 카자스탄에 아파트 공사도 정부의 권고로 한것이고 키코에 의한 환차손은 그 얼마인가.. 이 책임을 누가 질것인가..

  • 18 0
    늦었다.

    이미, '08년도 리먼브러더스 사태때 전부 다 청산 했어야 할 사항을
    리먼뻑스가 다 위장전술로 개차반을 만들었고, 저축은행사태를 불렀다....
    갱제는 이미 다 망가졌다..
    정권바꿔서 다시 추스려야 한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