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땅값 3700조" vs 경실련 "최소 6200조"
경실련 "땅값 저평가로 상위 1%에게 막대한 세금혜택"
국토부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251개 시군구청장이 2012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한 결과 2012년 공시대상은 총 3,119만 필지이며 공시가격 총액은 3,712조원, 전년대비 상승률은 4.47%이라고 발표했다.
경실련은 이에 대해 31일 반박자료를 통해 "경실련은 지난 2005년에 부동산 실태조사를 토대로 공시지가의 시세반영률이 42%이고, 시세는 총 5천195조원임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공시지가 현실화율이 91%라 주장했다. 하지만 다음해 공시지가 상승률이 18.6%라고 밝히면서 공시지가가 시세보다 높게 책정된 것이 아니냐는 비난에 스스로 91%의 현실화율은 잘못된 수치임을 인정하였다"며 "이 때 이후로는 현실화율을 밝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2005년 경실련이 추정한 시세를 기준으로 국토부가 매년 발표하는 지가상승률을 적용하면 2012년 현재 땅값총액은 약 6천200조원이다. 지난해 강기정의원이 국토부자료를 토대로 공개한 전국 토지 실거래가의 공시지가 반영률을 토대로 추정하더라도 땅값총액은 약 6천900조원으로 공시지가는 5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이어 "이 뿐 아니라 경실련이 조사한 단독주택, 아파트, 상가업무용지, 용도변경부지, 공기업이전부지 등의 시세반영률을 적용하면 공시지가의 시세반영률은 약 3~50%수준이며, 평균 45%를 시세반영률로 전제하고 땅값총액을 추정하면 8천200조원"이라고 덧붙였다.
경실련은 "공시지가가 도입된 1989년부터 지금까지 수십년간 국토부는 공시지가의 시세반영률을 매우 낮게 책정, 부동산부자와 재벌 등 상위 1%에게만 막대한 세금특혜를 베풀어왔다. 이로 인해 자산이 있는 자와 없는 자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었다"고 질타한 뒤, "부동산세금 중 재산세, 취등록세 등이 지방정부의 주요 세원임을 감안한다면 조작된 과표개선을 통한 공정한 과세실현은 마땅히 지방정부가 주도해나가야 한다"며 공시지가 결정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