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건설대기업 위한 '5대 헛공약' 남발"
경실련 "선거 개발공약은 결국 주민-국민 혈세부담으로 전가"
경실련이 9일 오후 ‘5가지 유형별 개발 헛공약’을 발표했다. ▲신공항 건설 ▲경전철 사업 ▲65개 철도․전철 역사 신설․유치 ▲무분별하게 추진되는 철도․전철 노선 연장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 중단’ 판명 공약 등이 그것이다. 경실련은 이들 공약에 대해 공약을 제시한 후보가 만약 당선이 되더라도 사업타당성 조사 등 전면적인 검증과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그동안 선거 시기 개발공약은 결국 건설대기업들의 영리추구 수단으로 악용되었고, 이로 인한 피해는 모두 해당 지역 주민과 혈세를 납부한 국민들에게 전가되어 왔다”며 동일한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정치현실을 개탄했다. 연말 대선때는 또 얼마나 많은 매머드 토목공약이 쏟아져 나올지, 벌써부터 아찔한 상황이다.
경실련은 첫번째, 10조원대 재원이 필요한 신공항 건설과 관련, "남부권 신공항의 경우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당 정책공약으로 제시된 가운데 대구 지역 후보들 위주로 공약이 제시되었음(20명). 이밖에 가덕도 신공항은 부산지역 후보들(11명), 제주 신공항은 제주지역 후보들(4명)이 공약으로 제시했다"며 "경제적 타당성과 재원조달방안을 생략한 채 무책임하게 제시되는 신공항 건설 공약은 향후 막대한 예산낭비와 지역갈등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두번째, 경전철 사업과 관련해선 "경전철 사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어 왔지만 이번 19대 총선에서도 34명의 후보들이 또다시 경쟁적으로 경전철 지속 추진과 추가 건설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국무총리실 자료에 따르면 현재 약 36개 지자체에서 84개 노선을 검토 중에 있으며, 총사업비는 51조5천억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용인 외에 지금까지 진행된 부산~김해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의 경우를 보더라도 과다한 수요예측과 이를 토대로 한 무리한 사업추진은 역시 다를 게 없다. 부산~김해 경전철의 경우 향후 20년간 약 1조6천억원, 의정부 경전철의 경우 10년간 1천억원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세번째, 철도·전철 역사 신규 건설과 관련해선 "이번 19대 총선에서도 54명의 후보가 65개에 달하는 철도․전철 역사를 신설하거나 해당 역사에 노선을 유치하겠다는 것을 공약으로 제시했다"며 "추후 재정 부담과 해당 노선 전체의 경제성 제고 측면을 감안할 때 사전에 정확한 승객 수요 예측 결과를 통해 진행되어야 하나 어느 후보도 이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내놓지 않은 채 마구잡이식으로 역사 건설을 약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간별로 일정정도 거리가 유지되어야만 경제성․효율성이 담보되는 KTX 노선의 경우에도 중간역사 건설이 공약으로 제시되고 있다"며 공약대로 될 경우 KTX가 '느림보 고속철'이 될 것임을 경고했다.


네번째, 철도·전철 노선 연장과 관련해선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전체 국가교통망의 효율적인 건설 및 노선 배분을 토대로 진행되어야 한다"며 "하지만 이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이 선거 때마다 자신이 출마한 지역까지 철도․전철 노선을 어떻게든 연장시키겠다는 공약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번 19대 총선에도 59명의 후보가 이에 대한 공약을 제시했다"고 비판했다. 천문학적 빚더미에 올라서 있는 철도·전철 공기업이 과연 막대한 노선 연장 비용을 조달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마지막 다섯번째,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사업성이 없다고 판명난 사업들에 대해서도 추진공약이 나왔다. 경실련은 "대형 신규 공공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수요가 없거나 경제성이 낮은 사업의 무리한 추진을 방지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에서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신규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고, 이러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사업 미시행이 요구된다는 결과가 나온 사업들에 대해서는 원점에서부터 재검토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그러나 이에 대한 뚜렷한 평가 없이 3개 사업이 공약으로 제시되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