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8.29대책 실패...수도권 아파트값 낙폭 다시 커져

아파트 구입 기피하면서 전세값은 계속 상승중

8.29 부동산부양책 발표후 2주가 지났으나 수도권 아파트값은 계속 하락하면서 도리어 낙폭이 커지고, 수요자들이 아파트 구매를 기피하면서 전세값은 오르는 등 부동산경기 침체는 계속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아파트 매매시장은 ▽서울(-0.04%) ▽신도시(-0.06%) ▽수도권(-0.04%)이 모두 하락했다. 서울지역 3.3㎡당 아파트값은 지난 해 7월 중순 1800만원대를 돌파한 후 1년 2개월여 만에 1799만원대로 내려앉으며 1800만원이 붕괴됐다.

서울과 신도시는 29주 연속, 수도권은 27주 연속 주간 하락세를 보였으며 지난 주보다 주간 낙폭은 조금씩 커졌다.

서울의 경우 ▽송파(-0.11%) ▽도봉(-0.08%) ▽구로(-0.07%) ▽용산(-0.07%) ▽마포(-0.06%) ▽영등포(-0.06%) ▽금천(-0.05%) ▽서대문(-0.05%) 순으로 낙폭이 컸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시장도 한 주간 ▽0.03% 떨어져 지난 주(-0.02%)보다 낙폭이 커졌다. ▽송파구(-0.21%) 재건축이 장미 재건축 단지 급매물 거래로 하향 조정됐고 강남, 서초는 지난 주에 이어 보합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일산(-0.18%) ▽중동(-0.04%) ▽분당(-0.03%) ▽산본(-0.02%) 순으로 내렸고, 평촌은 변동 없이 보합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하남(-0.18%) ▽성남(-0.13%) ▽광주(-0.11%) ▽고양(-0.10%) ▽화성(-0.10%) ▽구리(-0.09%) ▽의왕(-0.07%) ▽용인(-0.06%) 등이 하락했다.

수요자들이 아파트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전세를 선호하면서 전세값은 계속 올라, ▲서울(0.06%) ▲신도시(0.01%) ▲수도권(0.15%)이 모두 올랐다.

서울의 경우 ▲용산(0.38%) ▲종로(0.32%) ▲성동(0.19%) ▲성북(0.18%) ▲동작(0.14%) ▲동대문(0.09%) ▲마포(0.08%) 등이 올랐다.

신도시는 ▲분당(0.05%) ▲평촌(0.03%) ▲산본(0.01%)이 올랐고 ▽일산(-0.07%)이 하락했다. 중동은 변동 없이 보합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화성(0.50%) ▲의왕(0.42%) ▲오산(0.42%) ▲남양주(0.40%) ▲안산(0.38%) ▲광명(0.38%) ▲하남(0.32%) 순으로 올랐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16 개 있습니다.

  • 4 0
    최영함

    이명박정권은 전국적인 동시지방선거에서 대참패했다.
    경남북까지! 이제 한나라당은 텃밭이 없다.
    만들어야할 정도다. 국방과 안보에 무관심하면서도 공안정국을 만들었던
    공안정국에 대한 역풍이다. 공안정국의 역풍이 불었다. 모든책임져야할것이다.
    정권교체되면! 부동산대책이 불안정하다. 참여정부보다 더 심각하다.

  • 19 0
    멸쥐

    빨리 빚내서 집사라고 전세값 오른다고 협박하시네

  • 20 0
    시장경제

    난 DTI규제 풀기전부터 짐작했다. 어느 미 칭국민이 집을 빚내서 사겠는가...나라가 개판으로 돌아가고있는데...무슨론무슨론 대출금 퍼주고 집 팔아먹을 생각하지말고 집값 떨어지도록 시장경제에 맡겨둬라. 그것만이 가장 빨리 집값 살리는 길이라는걸 알아라.

  • 26 0
    전직 강남중개인

    지금 집사면 그대로 지옥문 열쇠 사는 겁니다. 정부는 이 열쇠 팔려고 별 개 jiral랄을 하는 겁니다. 절대 꾐에 넘어가지 마세요, 그대로 골로가는 겁니다..명심하세요...

  • 32 0
    아파트 70%하락

    그린벨트 풀고 할때알아봐다 전직대통련님 몰라서 안풀었겠나 앞으로 아파트 70%하락 그전에 아파트사면 땅을치고 후회한다 그러나 때늦은후회

  • 80 0
    멸쥐

    지금 집사면 개고생이다

  • 1 0
    서울의이점이라 글?

    제로에너지 주택이 5년뒤나 상용화될텐데 그런집이라면 집값에 건물가격은 비싸지겠죠 하지만토지가격은 글쎄요 전국90분생활대역이되는건데 서울이라고 그렇게 매리트가있어보이진않네요 전국생활권시대로 가게되면요 400킬로로 전차가다니는세상이오는데

  • 25 0
    거품이잖어 솔직히

    소득이 8배 오른게 아니므로 집값이 8배오른거는 비정상적이죠 영국하고 비슷한 집값이 말이나되요 소득이 우리보다 2배이상인나라하고같다는게 말이않되죠 일부강남집은 뉴욕집하고 비슷한데 그게 정상적이지않잖어요 솔직히 우리나라가 4만불이면 모를까 올해하반기에 겨우 2만불오른건데 그것도 2년전소득회복한거고

  • 130 1
    블레이드가이

    개인적인 생각인데... 2년 동안만 집 안사고 게기면...
    현재 시가보다 절반 이상 떨어진 집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근데 지금 빚내서 사라고??
    미친나??ㅋㅋㅋ

  • 34 0
    111

    전세값이 .... 계쏙 올라가지는 않사옵니다
    오히려 하락하고 잇어요

  • 129 0
    거품은

    반드시 꺼지게 만들어야 해.
    지금 집값의 70%는 거품이다.
    아프겠지만 거품은 걷어내야 한다.
    상처의 딱지가 살이 될 수 없듯이
    거품은 거품일 뿐이다.
    야바위꾼들이 키워 온 속임수 거품을
    집없는 서민들이 눈치 채기 시작했다.
    하우스 푸어는 자업자득이다.
    혈세를 축내지 마라.
    이 나라가 야바위꾼들의 나라냐.
    그들을 망하게 해야 한다.

  • 111 0
    시장의원리에그냥 맡기자

    겨우 이 정도 떨어진 걸 갖고...
    오른 걸 생각해봐 1996년 이후로 8배나 올랐다니

  • 41 0
    ㅁㅕㄹ

    규제푼다니까 금방 호가 올리고 호기 부리던 집주인들 망할 기분이겠지
    그러니 금방 깨갱 거리면서 가격만 더 낮춰 내리고 한심하네
    이제 더이상 부동산 대책은 없다. 풀건 다 풀고 해줄건 다 해줬다
    방법은 없어. 명박만 바라보던 투기꾼들은 이제 한강다리 예약하세요

  • 62 1
    아직도 멀었다

    dti 규제를 풀지 않았다면 실수요자들이 구입을 했을지도 모르지만 정부에서 아파트가 안 팔린다고 대 놓고 여러 규제를 풀어버리니 도리어 역효과가 나 버리는 결과를 초래 했구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시민들까지도 대세는 하락이라고 느끼는 분위기인데 정부가 나서서 아무리 여러 규제를 풀어 봤자 거래 자체가 없으니 문제지..

  • 87 0
    고통견디기

    다주택 소유한 투기꾼들이 빨리 털어 낼라고 전세값 올린다고 보여짐.
    아파트 1개 가진 자들도 탐욕부린것이고.
    세입자들은 좀 만 더 고생하세요. 만약 집주인이 탱처리 수준으로 싸게 내놓는다면 사버리는 것도 괜찮지만 그래도 년수 오래된 물건은 절대 사지 말것.
    다시는 주거용주택을 투기하는 세상 없앨 때까지 버텨냅시다.

  • 37 0
    쥐잡자

    일본형 장기불황은 숙명이다.
    광폭의 경제개혁 없이는 다 죽는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