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분당-용인-평촌, '버블세븐'에서 탈락

경기도 3개 도시 집값 폭락으로 환상 깨져

`버블세븐'에서 분당, 용인, 평촌이 사실상 탈락했다. 부동산 값이 급등했던 강남, 서초, 송파, 목동, 분당, 평촌, 용인 등 '버블 세븐'에서 올 들어 경기권 3개 도시의 아파트값이 폭락하면서 더이상 버블세븐이라 불릴 자격을 상실한 셈이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7년 초와 이달의 수도권 66개 지역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를 비교한 결과 분당, 용인, 평촌 등 경기도 3곳의 내림세는 버블세븐 전체 평균보다 큰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결과 7곳의 3.3㎡당 평균 매매가가 10.8% 내리는 사이 분당은 17.5%가 내리면서 1천701만원을 기록했고, 용인은 16.4%가 떨어지면서 1천26만원으로 1천만원 붕괴마저 초읽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이어 평촌도 12.8% 내리며 1천351만원으로 주저앉았다.

수도권 66개 지역 중 매매가 순위도 분당이 7위에서 11위로, 용인은 19위에서 39위로, 평촌은 10위에서 18위로 떨어졌다. 더이상 버블세븐이라고 불릴 수 없게 된 것. 특히 용인의 집값은 서울 시내에서 평당 평균 매매가가 가장 낮은 지역인 금천구(1천20만원)와 비슷한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반면 조사 기간에 다소(6.5%) 내리긴 했지만, 강남구의 이달 3.3㎡당 평균 매매가는 3천313만원으로, 버블세븐 지정 당시 1위였던 과천(2천935만원)을 제치고 수도권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지역으로 조사됐다. 2위로 떨어진 과천에 이어 3위를 차지한 서초구는 2천770만원에서 2천854만원으로 소폭이나마 오름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어 송파구(2천587만원→2천385만원, 7.8%↓)와 양천구(2천226만원→1천938만원, 12.9%↓)도 적지 않은 낙폭을 기록했음에도 각각 6위와 7위로 여전히 높은 순위를 지켰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3 개 있습니다.

  • 1 0
    Babo

    집 못사는 사람들의 특징 ==> 부동산 오르면 비싸서 못사고, 떨어지면 더 떨어질까봐 못산다.

  • 2 2
    소금장수

    분당, 용인, 평촌 엿되야 버렸네! 거 깨소금이다.

  • 7 0
    살맛난다

    집없는 설움이 이토록 기쁨이 되는 즐거운 시절이 왔구나~! 이런 날도 있어야 세상 살맛이 나지~!

  • 27 0
    가격거품

    소득대비뿐만아니라 절대가치로도 전세계 부동산 가격 1위를 차지하는 한국의 부동산가격은
    이제 약간 조정을 받고 있을 따름이다. 전세계의 부동산 버블이 꺼지는 마당에,아무런 국가 경쟁에 도움이 안되는 부동산에 한국만 계속 거품을 유지한다면 결코 이 나라의 장래는 암울할 따름이다.

  • 23 0
    중개인

    평당 4백만원 시대가 곧 옵니다. 절대 지금 사지마세요.

  • 18 0
    쯧쯧

    부동산으로 먹고사는애들은 여기와서, 낚시질하지마라. 부동산애들은 지금도 호기라고, 모든가격 다시 회복된다고 낚시질하지만, 결국 아파트값은 내려간다. 세계적인 대세일뿐이다. 금융산업의 어려움으로 부동산으로 넘어와서 공급쪽을 힘들게 하고, 경제의 불안은 수요쪽에 압박을 넣어서 결국 부동산거품은 붕괴한다. 그게 한국 경제의 남은 과제이기도 하지만.

  • 14 0
    참아라!하루만이라도

    지금 가격의 반값시대가 곧 온다.,. 며칠만 참으면 되는데..그것을 못참으면 너만 바.보.다.

  • 31 0
    ㅡㅡ

    앞으로 아파트값 70%하락한다 자연의이치 지금아파트사지마세요

  • 1 3
    부패의 추억

    물론 이 경우에도 소득이 확연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집값이 폭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적어도 신규분양가격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강남지역도 당시 시세의 85~90% 수준까지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은 내년이 지나갈수록 서울의 주택가격은 상당히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 물론, 수도권은 향후 3년 안에 답 없다.

  • 1 4
    부패의 추억

    내가 염려하는 것은 용인, 분당 등 답 없는 지역 말고, 서울 시내는 급매, 급급매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입주물량도 3.5만채로 과거 5년 평균 5.4만채에 턱없이 모자라고, 뉴타운으로 멸실물량도 상당하다. 연말, 내년초 경기회복이 가시화되고 자본시장의 자본회전력이 회복되면 서울은 주택가격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 2 1
    부패의 추억

    이 지역들의 몰락은 사실 2006년말부터 누차 강조되어 왔다. 광교, 수원 영통, 동탄, 동탄2 등 향후 이 지역에 예정된 개발물량만 17만채다. 올해 입주물량도 2.2만채다. 당연히 물량 Shock이 온다고 시장의 탁월한 선수들은 누차 부르짖었다. 문제는 어줍잖은 아마추어들은 용인이 무슨 기회의 땅인줄 알고 고분양가, 대형 평수로 시장과 승부했었다.

  • 4 1
    부패의 추억

    부동산시장이 비효율적인 듯 보이지만, 중기적으로는 그래도 수급의 법칙이 작동하는 시장경제의 한 부분이다. 사실 분당 2,500만원, 용인 1,800만원 만들어 준 것은 판교다. 당초 1,200 예상하던 분양가를 저밀도 장난질 쳐서 분양가가 1,800만원 중반대로 나오면서, 주변지역에 불이 붙은 것이다. 한 마디로 노정권의 아마추어 정책자들의 실수가 있었다.

  • 7 0
    최영함

    버블세븐지역도 세금원칙과 법에 맞게 해야한다.
    민선5기 여소야대 야권공동지방정부!
    큰선거에서 이겼던만큼 제대로 하는게 적절하다. 속시원하게 해결하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