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다수당 상임위원장 싹쓸이법' 이달 발의
야당들의 강력 반발 등 새 갈등요인으로 급부상
안상수 원내대표는 13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책임정치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당에서 모든 상임위원장을 맡아 책임을 지는 제도가 필요하다"면서 "이달 안에 관련법 개정안을 발의해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 원내대표는 "외국의 사례 및 한국의 과거 국회운영 사례 등을 분석하고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종합 수렴할 계획"이라면서 "당 `국회선진화특위'에서도 관련 내용을 연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당론으로 개정안을 제출하기보다는 찬성하는 의원들이 중심이 돼 개정안을 발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원내대표는 앞서 지난 10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정기국회 법안처리 실적 `전무'에 대한 책임을 물어 민주당 소속 이종걸 교과위원장과 추미애 환노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면서 "이제부터라도 미국처럼 다수당이 모든 상임위의 위원장을 맡도록 해 책임을 지는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당 관계자는 "우리도 12대 국회까지는 다수당이 모든 상임위의 위원장을 맡은 적이 있다"고 전했다.
조해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야당 상임위가 유독 `불량 상임위' 소리를 듣는데 대해 반성해야 한다"면서 "정쟁의 도구가 아니라 일하는 상임위를 만들기 위해 야당 상임위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안에 대해 민주당 등 야당이 "독선적 국회운영"이라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법안 처리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99마리의 양을 가진 부자 한나라당이 100마리를 채우기 위해 가난한 야당의 한 마리 양마저 빼앗겠다는 욕심"이라면서 "다수당이 상임위를 독식했던 것은 독재정권 시절인 12대 국회까지로, 한나라당의 생각은 결국 과거 독재정권 시절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