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언론사주가 시정잡배나 저지를 범죄 의혹 사다니"
보수신문들은 김재호 <동아>사장 의혹 외면
금융감독원이 최근 동아일보의 사주와 간부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거래를 통해 시세차익을 거둔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는 <한겨레> 보도와 관련,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이 뚜렷한 보도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인터넷판에 <연합뉴스> 기사를 짧게 보도하는 데 그쳤고, <문화일보>는 아예 다루지 않았다. <동아일보>는 사실무근이란 해명기사를 실었다.
<한겨레>는 그러나 11일 2차 추가의혹을 제기하는 기사를 썼고, <경향신문>은 사설을 통해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경향>은 사설을 통해 "소위 사회 특권층이랄 수 있는 중견 재벌그룹 회장과 유수의 재벌가 3, 4세들도 일확천금의 유혹에 빠져 주식을 가지고 장난치다가 줄줄이 검찰에 구속되기도 했다"며 "이 같은 증시 투전판화에 언론사 사주가 가세했다는 혐의가 사실이라면 가히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언론 본연의 임무는 감시와 비판에 있으며 언론사 사주는 사회적 공기(公器)의 책임자로서 언론의 소명을 앞장서서 받들고 이를 지키도록 검열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그런데 언론인들의 사표(師表)가 돼야 할 언론사 사주가 시정잡배나 저지를 범죄 연루 의혹을 사고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라며 거듭 질타했다.
사설은 "금감원은 이번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고발’보다는 한 단계 아래인 ‘수사기관 통보’를 택했다고 한다. 언론기관 수사에 따른 부담 때문으로 보인다"며 "검찰은 시세차익 혐의를 어물쩍 넘겨서는 안된다. 철저한 수사를 통해 비리의 근원을 확실히 도려내는 것이 검찰·언론·사회가 사는 길"이라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인터넷판에 <연합뉴스> 기사를 짧게 보도하는 데 그쳤고, <문화일보>는 아예 다루지 않았다. <동아일보>는 사실무근이란 해명기사를 실었다.
<한겨레>는 그러나 11일 2차 추가의혹을 제기하는 기사를 썼고, <경향신문>은 사설을 통해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경향>은 사설을 통해 "소위 사회 특권층이랄 수 있는 중견 재벌그룹 회장과 유수의 재벌가 3, 4세들도 일확천금의 유혹에 빠져 주식을 가지고 장난치다가 줄줄이 검찰에 구속되기도 했다"며 "이 같은 증시 투전판화에 언론사 사주가 가세했다는 혐의가 사실이라면 가히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언론 본연의 임무는 감시와 비판에 있으며 언론사 사주는 사회적 공기(公器)의 책임자로서 언론의 소명을 앞장서서 받들고 이를 지키도록 검열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그런데 언론인들의 사표(師表)가 돼야 할 언론사 사주가 시정잡배나 저지를 범죄 연루 의혹을 사고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라며 거듭 질타했다.
사설은 "금감원은 이번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고발’보다는 한 단계 아래인 ‘수사기관 통보’를 택했다고 한다. 언론기관 수사에 따른 부담 때문으로 보인다"며 "검찰은 시세차익 혐의를 어물쩍 넘겨서는 안된다. 철저한 수사를 통해 비리의 근원을 확실히 도려내는 것이 검찰·언론·사회가 사는 길"이라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