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北 선언, 너무 크게 받아들일 필요 없어"
북한의 합의 무효화 선언에 신중한 반응
청와대는 30일 북한의 정치-군사 합의 무효화 선언에 대해 "너무 크게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남북기본합의서라는 게 무슨 성명 한 장 가지고 파기할 성격의 것이 아니지 않나. 국회 비준까지 받았는데"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로서는 어쨌든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의 문을 열고 있다. 그리고 북한을 도우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는 우리의 기본 방침과 방향에 변함이 없다"며 북한에 거듭 대화를 제안했다.
청와대는 그러나 이날 아침 북한의 무효화 선언직후 이명박 대통령에게 상황을 긴급 보고하는 등 북한의 무효화 선언에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분위기다.
정부는 북한의 조치에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북한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정치-군사적 대결 상태와 관련된 모든 합의사항의 무효화와 해상불가침 경계선 관련 조항의 일방폐기 등을 주장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남북 기본합의서 등 남북간 합의는 쌍방 합의에 의해 수정하는 것이며 일방의 주장에 의해 폐기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서해 북방한계선(NLL)은 지난 반세기 동안 남북간 해상 군사분계선으로 준수돼 왔으며 남북기본 합의서에 따라 새로운 해상불가침 경계선이 합의되기 전까지는 남북 쌍방간에 반드시 준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간의 긴장이 조성되고 확대되는 것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시아와 세계 평화에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북한은 깊이 인식하고 우리와의 대화와 협력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북한의 이명박 대통령 비난과 관련, "상대방의 최고 지도자를 비난하는 것은 남북간 상호존중 등 합의의 정신에도 크게 어긋나는 만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며 비난 중단을 촉구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남북기본합의서라는 게 무슨 성명 한 장 가지고 파기할 성격의 것이 아니지 않나. 국회 비준까지 받았는데"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로서는 어쨌든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의 문을 열고 있다. 그리고 북한을 도우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는 우리의 기본 방침과 방향에 변함이 없다"며 북한에 거듭 대화를 제안했다.
청와대는 그러나 이날 아침 북한의 무효화 선언직후 이명박 대통령에게 상황을 긴급 보고하는 등 북한의 무효화 선언에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분위기다.
정부는 북한의 조치에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북한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정치-군사적 대결 상태와 관련된 모든 합의사항의 무효화와 해상불가침 경계선 관련 조항의 일방폐기 등을 주장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남북 기본합의서 등 남북간 합의는 쌍방 합의에 의해 수정하는 것이며 일방의 주장에 의해 폐기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서해 북방한계선(NLL)은 지난 반세기 동안 남북간 해상 군사분계선으로 준수돼 왔으며 남북기본 합의서에 따라 새로운 해상불가침 경계선이 합의되기 전까지는 남북 쌍방간에 반드시 준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간의 긴장이 조성되고 확대되는 것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시아와 세계 평화에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북한은 깊이 인식하고 우리와의 대화와 협력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북한의 이명박 대통령 비난과 관련, "상대방의 최고 지도자를 비난하는 것은 남북간 상호존중 등 합의의 정신에도 크게 어긋나는 만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며 비난 중단을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