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8일 파업 중단, "언론악법 재상정시 재파업"
"한나라의 날치기 처리 저지는 국민들의 힘"
지난달 26일부터 13일째 파업을 해온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최상재)이 8일 0시부로 총파업을 중지하고 현업에 복귀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7일 새벽 “국회가 쟁점이 된 언론관련 법안 처리를 연기함에 따라 총파업 투쟁을 일시 중지하지만, 한나라당과 정부가 현재와 같은 언론악법을 다시 상정하여 통과시키려 할 경우 즉각적으로 총파업 투쟁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한나라당의 언론법 개악이 직권상정으로 날치기 처리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라며 “이번 결과는 언론의 자유와 독립을 염원하는 일만 팔천 언론노동자들의 총파업과 지지와 성원을 보내 준 국민들의 힘”이라고 논평했다.
언론노조는 이어 “반민주 악법 저지하기 위해 사슬로 몸을 묶고 저항한 민주당, 민주노동당 등 야당의 수고에도 박수를 보내며 2월 이후 언론악법 저지에 더욱 큰 힘으로 국민과 함께 나서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언론노조는 7일 오전 11시 서울 남대문 YTN 사옥 앞에서 낙하산 구본홍 퇴진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오후 2시에 민주노총 결의대회에 참여한 뒤 언론악법 저지 총파업 투쟁을 중지할 예정이다.
언론노조는 7일 새벽 “국회가 쟁점이 된 언론관련 법안 처리를 연기함에 따라 총파업 투쟁을 일시 중지하지만, 한나라당과 정부가 현재와 같은 언론악법을 다시 상정하여 통과시키려 할 경우 즉각적으로 총파업 투쟁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한나라당의 언론법 개악이 직권상정으로 날치기 처리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라며 “이번 결과는 언론의 자유와 독립을 염원하는 일만 팔천 언론노동자들의 총파업과 지지와 성원을 보내 준 국민들의 힘”이라고 논평했다.
언론노조는 이어 “반민주 악법 저지하기 위해 사슬로 몸을 묶고 저항한 민주당, 민주노동당 등 야당의 수고에도 박수를 보내며 2월 이후 언론악법 저지에 더욱 큰 힘으로 국민과 함께 나서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언론노조는 7일 오전 11시 서울 남대문 YTN 사옥 앞에서 낙하산 구본홍 퇴진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오후 2시에 민주노총 결의대회에 참여한 뒤 언론악법 저지 총파업 투쟁을 중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