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타워팰리스 등 주상복합, 계속 수직추락

쌍용플래티넘 20%이상 폭락, 버블세븐 집값도 수직추락

정부가 아파트값 폭락을 막기 위해 11.3대책을 내놓았으나 강남 재건축만 '찔끔 호가 상승' 조짐을 보일뿐, 타워팰리스 등 강남 주상복합아파트 집값이 연이어 급락세를 보이는 등 거품 파열이 가속화하고 있다.

부동산전문가들은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이 내년에 동반 마이너스성장을 하고 중국경제도 경착륙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경제도 치명타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져 시중의 현금보유 심리가 더욱 심화돼, 정부가 어떤 대책을 내놓아도 아파트값 하락을 막기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7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10월 31일~11월 6일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평균 0.23% 떨어져 전주(-0.30%)보다 낙폭을 줄였다. 11.3 대책 발표후 일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의 호가가 반등했기 때문. 그러나 수도권시장은 19주 연속 하락하면서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26%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송파구(-0.74%), 서초구(-0.66%), 강동구(-0.43%), 양천구(-0.26%), 강남구(-0.20%), 중랑구(-0.17%), 도봉구(-0.15%), 강서구(-0.13%), 마포구(-0.11%) 순으로 하락했다.

11.3 대책에 반응한 곳은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잠실동 주공5단지와 가락동 가락시영은 급매물이 소진되고 매도 호가도 올랐다.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119㎡가 4천500만원 오른 10억4천만~10억7천만원, 가락동 가락시영2차 42㎡가 500만원 상승한 4억7천만~5억5천만원. 강남구 개포동 주공2단지 82㎡도 2천500만원 오른 14억5천만~15억원, 대치동 은마 102㎡가 2천500만원 오른 8억5천만~9억8천만원에 호가가 형성됐다.

하지만 다른 아파트들은 계속 급락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본격 하락하기 시작한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등 주상복합의 낙폭이 커지는 양상이다.

도곡동 타워팰리스2차 214㎡의 경우 2억원 내린 22억5천만~25억원에 시세가 형성됐으며, 삼성동 쌍용플래티넘 191㎡은 낙폭이 더 커 무려 3억6천만원이나 폭락한 11억~12억4천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일주새 무려 20% 이상 폭락한 셈.

일반 아파트값들도 계속 하락양상을 보이고 있어,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촌 161㎡가 9천만원 떨어진 12억7천만~14억5천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투기지역에서 해제된 버블세븐 신도시도 계속 집값이 수직추락중이다. 용인시(-0.48%), 하남시(-0.45%), 과천시(-0.32%), 신도시 일산(-0.32%), 분당(-0.30%), 안양시(-0.29%), 수원시(-0.28%) 순으로 하락했으며 인천은 연수구(-0.26%)가 크게 내렸다.

용인시 신봉동 LG빌리지5차 175㎡는 9천만원이나 급락한 5억5천만~7억5천만원, 성복동 푸르지오 142㎡가 2천만원 내린 6억~6억5천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일산 마두동 정발건영1단지 247㎡가 5천만원 하락한 9억~9억5천만원, 주엽동 호수럭키롯데 161㎡가 4천만원 하락한 7억5천만~8억원을 기록중이다.

인천 송도웰카운티2단지 180㎡도 1억원 하락한 8억~9억원, 송도금호어울림 161㎡가 5천만원 하락한 7억~8억원에 시세가 형성되는 등 인천 아파트값도 급락하고 있다.
김혜영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10 13
    111

    연초에 국내발 댓글.
    규제강화된것에 아무것도 손대지말고
    5년치 월급줄테니 사임하고 나가라
    댓글이 유행했다 ...

  • 11 7
    111

    부동산 규제강화가 부동산거품붕괴가 막는 최선의 방법인것을
    금융의 규제강화가 금융의 붕괴를 막듯이 같은이치이다.
    규제강화 미국과 유럽은 늦게 알았네
    금융의 규제철폐.부동산거품붕괴 미국과유럽거품경제 붕괴
    로 가는중..

  • 9 5
    모래성

    비자금을 너무 빼서 그렇나?
    먹고 튀자.

  • 17 4
    지나가다

    무대책이 최상의 정답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다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지만 거품 낀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때는 아무런 대책이 없는 것이 최상의 대책이다. 부동산 가격의 하락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겠지만 이런 것을 우려하여 떨어지는 부동산 가격을 막으려 한다면 이는 일시적인 대책에 불과할 뿐이며 향후 더 큰 고통의 근원이 될 수 밖에 없다.
    부동산을 통하여 얻는 소득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겠지만 부동산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불로소득이 전체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자신의 노동, 그리고 창조적인 활동을 통하여 얻는 소득이 주가 되는 사회만이 건강하게 발전하는 사회로서 구성원들에게도 참된 삶의 보람과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사회는 부동산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소득이 '0'인 사회이다.

  • 35 12
    미래예측

    강남 부동산 반 이하로 떨어진다
    전형적인 일본의 부동산 폭락을 재현하고 있다.
    일본은 상가까지 폭락하면서 대출로 산 애들이 3분의 1 이하로 떨어진 부동산 시세로 자살이 속출했다.
    그리고 은행까지 같이 넘어갔다.
    부왕부왕한 한국의 경제 관념 이제 무너질 때가 되었다.
    혹시나 오를까 생각하는 이들은 꿈 깨라.
    올라가야 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
    은행이 돈이 말랐다.
    달러 외채 빌렸다가 지금 죽어나고 있다.
    부동산에 돈을 넣을 이유가 없지.
    지금 부동산에 돈을 댈 수 있는 강남 부자들이 펀드니 저리 엔캐리 자금이니 손 댔다가 이자도 못 물고 무서운 봄을 기다리고 있는 판국에 부동산을 매각할 애들만 가득이다.
    그런데 그 부동산 바닥을 친다고 해도 살 애들이 없는 것이다.
    그게 지금 한국 경제의 현실이다. 무서운 현실.
    추락하는 부동산을 살 애들이 없다는 것.
    3천만 계좌에 달한 펀드 광풍의 무서운 현실이 다가오고 있다.
    지금은 겨우 1%의 위험만 드러난 것인데 한국인들 너무 놀라고 있다.
    펀드 수익률이 -80%까지 나오고 있는데 그래봤자 개인 손실이다.
    그런데 문제는 대출이다.
    은행들이 싼 달러 빌려다가 돈 장사를 한 것인데.
    특히 자동차 할부 전문으로 하는 캐피털 금융사들의 회사채도 돌지 않는다.
    애들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는 게 정석이다.
    물론 자동차도 못 판다.
    자동차는 80% 이상이 할부 구매인데 돈줄 꽉 막힌다.
    카드나 캐피털이 저리로 달러 조달해서 돈 장사를 한 것인데 이제 무너질 때가 된 것이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