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동아일보> "민주당, '있는자' '없는자' 구도로 몰지말라"

"지금은 '부자 되세요'가 덕담인 세상"

<동아일보>가 이명박 정부 각료 후보들의 각종 의혹에 대한 철저한 검증 필요성을 지적하면서도 통합민주당에 대해 '있는자'와 '없는자' 대결구도로 몰아가지 말라고 경고하고 나서, '강도높은 검증'을 요구하는 다른 신문들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동아일보>는 23일자 사설 '장관 재산 철저히 검증하되 정치공세는 말아야'를 통해 "새 정부 장관 후보자 15명의 평균 재산이 3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30억 원 이상이 8명이고, 8억∼11억 원이 5명"이라며 "가장 많은 사람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로 140억 원이다. 유 후보자로 인해 전체 평균이 9억3300만 원 올랐다"고 지적했다. 이는 전날 <동아일보> 출신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이 했던 해명과 동일한 내용.

사설은 이어 "일부 후보자는 전국에 많은 부동산을 갖고 있다. 주택을 3채 이상 가진 사람도 6명이다. ‘부동산 부자 내각’이라는 소리도 그래서 나온다. 일부 후보자의 투기 의혹도 제기됐다"면서도 "내각에 재력가가 많으면 경제정책 수립과 집행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우리 사회엔 개인이 부(富)와 명예와 권력을 모두 누리는 것을 좋게 보지 않고, 부의 축적 과정에 대해 의심부터 하는 경향도 있다"고 여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사설은 "그러나 재산이 많다고 장관 부적격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재산이 장관으로서의 능력과 상관없는 것처럼 재산이 도덕성과 직결되는 것도 아니다"라며 "재산이 많은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유산이나 상속을 받은 경우도 있고, 정당하게 취득한 부동산의 가격이 크게 올랐을 수도 있다. 노력해서 번 돈을 주식 투자처럼 합법적 방법으로 불린 경우도 있을 것이다. 정상적 능력, 정당한 방법, 남다른 근검절약으로 부자가 됐다면 부러워는 할지라도 지탄할 일은 아니다. ‘부자 되세요’가 덕담인 세상"이라고 주장했다.

사설은 그러나 이어 "다만 국회 청문회를 통해 재산 형성 과정만은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탈법 불법 또는 부동산 투기 사례는 없는지, 공직자로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지는 않았는지, 재산 취득과 보유 과정에 탈세는 없었는지 등을 가려내야 한다"며 "후보자들 또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성의를 다해 소명해야 한다.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그러면서도 통합민주당을 향해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정치공세의 대상으로 삼아선 안 된다. 통합민주당은 벌써부터 장관 후보자들의 재산 문제를 정치 쟁점화할 태세"라며 "4월 총선을 염두에 두고 ‘있는 자’ 대 ‘없는 자’의 구도로 몰아갈 것이란 관측마저 있다. 이런 식으로 국민 편 가르기를 재현한다면 양식 있는 국민으로부터 싸늘하게 외면 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같은 날 <조선일보>는 사설 '장관 청문회, 재산 형성 불·탈법 샅샅이 가려내라'를 통해 "우리 사회는 공직자의 많은 재산에 대해 무조건적인 거부감을 보이는 심리가 팽배해 있다"며 <동아일보>와 같은 지적을 하면서도 "선진국 어디에서도 찾기 어려운 이 유별난 사회 심리는 재산을 불법으로 불린 사람들이 많았던 경험을 통해 생성된 것"이라며, 우리사회의 재산 과다보유자에 대한 비판이 부유층의 불법적 재산증식의 산물임을 지적했다. 사설은 또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주호영 대변인은 '단순히 재산이 많다고 비난받을 이유는 없다'고 했다. 당연한 말이기는 하지만 공직자의 경우엔 그 당위론만을 강조하기 어려운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라며 철저한 검증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재훈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