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발끈 "연간 1억 내온 연합뉴스 구독료 납부 취소"
연합뉴스 비판 기사에 "참 못된 기사가 떴다"
홍준표 시장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연합뉴스 통신 구독료를 우리 대구시에서는 1년에 1억원 가까이 낸다고 하는데, 공무원들이 이를 컴퓨터로 찾아 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오늘부터 구독료 납부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건 아마 전국 지자체 모두 해당되는 사항일 것"이라며 "스마트폰 뉴스 시대에 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늘 해오던 관성으로 전국 지자체가 구독료를 TV시청료처럼 강제 징수 당하는 느낌"이라며 "세금 낭비라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며 구독 해지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는 "국가기간 통신망으로 그 기능이 회복 되면 그때 재구독 여부를 고려할 생각"이라며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 제 19조를 보면 연합뉴스 의무구독은 중앙정부에 한정되고 지방정부는 관련이 없다. 오늘 시청에 설치된 연합뉴스 수신 단말기 반환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앞서 전날에는 <홍준표 대구시장, 구내식당 '별궁' 등 과잉 의전 구설수>라는 제목의 연합뉴스 기사에 대해 페이스북을 통해 "참 못된 기사가 떴다"면서 "구내식당에 직원들 대부분 식사하고 난 뒤 12시 30분에 가서 같은 식단으로 구석진 자리에 가림막 하나 설치 했다고 그것을 별궁이라고 하지 않나"라고 발끈했다.
이어 "시청 청사내 들어와서 1인 시위 하는 것은 부당하니 시청 청사 밖에서 1인 시위 하라고 원칙적인 지시를 하니 과잉단속이라고 하지 않나. 시의회 참석 위해 동인동 청사에 갔을 때 의회 담당인 정무조정실장과 비서실장이 문앞에서 나와서 안내하니 그걸 과잉의전이라고 하지 않나"라며 조목조목 기사 내용을 열거한 뒤, "참 어이가 없네요. 시정개혁에 불만이 있으면 그걸 정면으로 비판해야지, 되지도 않은 가십성 기사로 흠집이나 내 볼려는 참 못된 심보"라고 비난했다.
그는 "그러면 스마트폰 뉴스 시대에 각 지자체 공무원들이 컴퓨터로 보지도 않는 통신 구독료를 전국 지자체마다 한해 수천만원씩 거두어 가는 것은 올바른 처사냐"고 반문한 뒤, "그것부터 한번 따져 보자. 전국 지자체 세금을 그렇게 낭비해도 되는지"라고 덧붙여, 구독 취소를 예고했다.
홍 시장은 논란이 일자 재차 페이스북을 통해 "물론 찌라시성 페이크 뉴스가 시발점이 되긴 했지만 잘못된 관행은 타파해야 한다는 생각이 더 큰 언론 대응책"이라며 "이미 뉴시스.뉴스원등 통신사들이 많이 등장한 마당에 어느 특정 통신사에게 특혜를 주는 것은 시대 정신에 맞지 않지요"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