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창당을 목표로 속도를 내던 범여권 통합신당이 시작부터 각 정파의 지분협상과 주도권 다툼으로 갈등을 빚으면서 차질을 빚고 있다.
범여권 4자 회동, 창준위-중앙위원 구성비율 이견으로 무산
공동창당준비위 구성을 위해 19일 대통합추진모임과 미래창조연대, 통합민주당 탈당파 등 정치권과 시민사회진영의 ‘미래창조연대’가 갖기로 했던 4인 회동이 미래창조연대의 불참 통보로 무산됐다.
대통합추진모임의 홍보간사인 우상호 의원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미래창조연대 측과 세부적인 창당 관련 실무협의가 다 끝나지 못해서 좀 더 논의의 진전을 위해 하루 여유를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그러나 “오늘 전체회의에서 예정대로 오는 7월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창준위를 구성하고 8월 5일 창당대회 역시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진행키로 최종확정했다”며 신당 추진이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열 미래창조연대가 절반의 지분을 요구, 대통합 신당이 출범전부터 삐긋대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창조연대 "창준위, 오충일 1인 체제여야" vs 정치권 "각 정파별 1인 참여"
미래창조연대의 불참은 표면적으로는 세부적인 창당 논의가 마무리 되지 않았다는게 이유지만 실제 이유는 창당준비위원회와 중앙위원회 구성을 둘러싼 서로간의 주도권 싸움이 가열됐기 때문이다.
현재 미래창조연대 측은 오충일 임시집행위원장이 단일 창준위원장을 맡아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중앙위원도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동등한 지분을 갖고 참여하기 위해 1대1 비율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오랜 고민 끝에 시민사회진영이 정계진출을 선언한 마당에 정치권의 들러리를 선다는 비난여론을 피하기 위해서는 창당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창준위원장은 미래창조연대가 맡아야 한다는 주장.
반면에 정치권은 대통합추진모임, 선진평화연대, 통합민주당 측 각 1명과 시민사회진영 인사 2명이 참여하는 공동창준위 체제를 주장해왔다. 엇갈리는 정파별 이해관계를 총괄할 단일모임이 없는 상황에서 이 체제가 최선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미래창조연대는 창준위 구성부터 2대3으로 정치권이 주도하는 국면으로 비춰지면 결국 시민사회진영의 정치권의 단일세력화에 들러리만 서는 격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미래창조연대는 이와 관련 18일 저녁 긴급 임시집행위원를 열어 “창준위 구성방식, 한미 FTA 연내 비준동의 입장, 모바일 국민경선 도입 문제 등 창준위 구성과 정책의 원칙을 포함한 몇 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대목이 있다며 ”이런 협의가 계속 진행될 경우 새로운 정치를 갈망하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창당 일정에 쫓기는 정치권을 압박하고 나섰다.
논란이 거듭되자 대통합추진모임은 19일 전체회의를 통해 공동창준위 구성에 합의하면 중앙위원은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1대1 비율로 구성하는 협상안을 전달했다.
그러나 시민사회진영은 정치권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20일 4자회동 성사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시민사회진영 한 관계자는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대통합 신당에 참여한다면서 벌써부터 정치권에서 자신들의 지분을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대통합추진모임의 제안이 선진평화연대, 통합민주당 탈당파 등 다른 정치세력과의 논의 없이 결정됐다는 점도 향후 이들의 협상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벌써부터 정치권 일각에서는 시민사회진영과 지분을 절반씩 나누는 것에 대한 불만들이 터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문국현 출마 시기가 시민사회진영의 정치권 합류 최대 변수될 듯
사실상 시민사회진영에서 단독후보로 밀고 있는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의 ‘고무줄’ 출마 시기도 정치권과 시민사회진영 통합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문 사장은 지난 16일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11월 25일이 대선후보 등록일이니까 한 달 전인 10월 25일경에 출마(여부)를 밝히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범여권에 대선주자가 너무 많고 구도도 복잡하니까 정치권 출신들끼리 예선전을 치러 2명 정도를 뽑고, 거기에 경제계 1인, 여성계 1인이 참여해 미래를 설계하는 본선경선을 치르자”고 주장, 사실상 국민경선추진협의회가 추진하는 8월 예비경선, 9월 본경선 일정 불참을 시사했다.
따라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문 사장을 지지하는 미래창조연대가 독자적인 대선 로드맵을 추진하며 신당의 합류시기를 늦추거나 경선일정의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