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국갤럽] 76% "지금은 집 사기에 좋지 않은 시기"

43% "향후 1년간 집값 내릴 것", 부동산경기 급랭 예고

<한국갤럽> 조사결과, 국민 4명중 3명은 '지금은 집을 구입하기에 좋지 않은 시기'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돼 부동산경기 급랭을 예고했다.

6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4~5일 이틀간 전국 성인 1천4명에게 지금이 집을 구입하기에 좋은 시기인지 물은 결과 '좋은 시기'라는 답은 10%에 불과했다.

반면에 76%는 '좋지 않은 시기'로 봤으며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는 지난 2013년 9월 <8·28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한 대응 방안> 발표 직후 조사때 '지금이 집을 구입하기에 좋은 시기' 34%, '좋지 않은 시기' 42%였던 것과 비교하면, '집 구입 적기'라는 응답은 40개월 만에 24%포인트 감소, '좋지 않은 시기'는 34%포인트 급증했다.

향후 1년간 집값 전망에 대해서도 '오를 것'이란 전망은 20%에 그쳤고, 43%는 '내릴 것'이라고 답했다. 32%는 '변화 없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5%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다섯 차례 집값 전망 조사에서 상승-하락 응답 격차는 매번 6%포인트 이내, 보합 전망은 24~35% 범위에서 오르내리는 등 상승-하락-보합 응답 비중은 3:3:3 구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집값 하락 전망이 처음으로 40%를 넘어 변화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부동산경기 침체를 예견하면서도 부동산경기 부양 조치에 대해선 반대하는 여론이 더 많았다. 이미 지금 집값에 거품이 잔뜩 끼어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부의 부동산 매매 활성화에 대해서는 '그럴 필요 없다' 50%였다. '더 활성화해야 한다'는 38%에 그쳤고,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매매 활성화 주장은 여전히 적지 않지만, 현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9월 64%→2014년 7월·12월 53%→2015년 8월 48%→2016년 8월 41%로 감소세를 보여왔고,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필요 없다'는 입장에 뒤졌다.

집값 하락 전망이 늘어난 것과는 달리, 주택 임대료는 앞으로도 오를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41%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고 19%는 '내릴 것', 33%는 '변화 없을 것'이라고 봤으며 7%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향후 1년간 주택 임대료가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20대에서 70%로 가장 많았고, 30·40대에서는 40% 선, 50대 이상에서는 30%를 밑돌았다. 선행 질문인 집값 전망에서도 20·30대가 40대 이상에 비해 '오를 것'이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며 "이는 중장년층보다 젊은층이 주거비에 대한 부담감과 우려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본인 소유의 집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있어야 한다' 63%, '꼭 그럴 필요 없다'는 36%였고 1%는 의견을 유보했다. 2014년 7월에는 '내 집이 있어야 한다' 54%, '그럴 필요 없다' 44%였다.

<한국갤럽>은 "2014년과 비교했을 때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내 집이 있어야 한다'는 응답이 20·30대에서만 약 20%포인트 증가한 점이다. 40대 이상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20·30대는 중장년층에 비해 주택 보유율이 낮다. 다시 말해 임대 주택 거주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들은 최근 몇 년간 전세 품귀, 월세 전환, 임대료 급등 상황을 겪으며 '내 소유의 집'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표본을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20%(총 통화 5,107명 중 1,004명 응답 완료)였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2 개 있습니다.

  • 8 1
    결국 터진다 ~

    내년은 절대 피할수가 읍어
    이렇게 만들어놓은 놈들이 여전히 경제수장자리 차지하고 있으니

  • 7 0
    내년에 터진다고 봐 -야

    부동산버블이 터진다고 봐야 -
    현금보유비중 높이고 업드려 있으면 모든것들이 한순간 무너져 내리지

  • 12 0
    경제전문가

    타락한 인간들에 의해서 타락한 아파트
    거품이 생겼다고 보시면 맞을 겁니다
    내가 산 아파트를 더 큰 바보가 나타나
    사줄 거라는 믿음도 크게 작용합니다
    늘 정부 정책에 당하는 사람들은 부자보다는
    일반 서민들이 당하니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 7 0
    ㅎㅎ

    양극화 노시개가 또 거품불겨

  • 9 0
    breadegg

    부동산 경기 살리려면,
    북한하고 경제교류해서, 북한 인민들을
    한국에 거주가 가능하게 맹글어야 할걸?
    또, 한국사람은 북한에 가서 거주할 수 있어야 하고..
    .
    결국, 북한과의 본격적인 경제활성화만이
    쥐똥, 닭똥.. 거기다 갱화니가 양념으로 끼어서 개죽을 쑨 똥판을
    청소하는 길일 게야...

  • 22 0
    ㅈㄱㅇㅈㅇㄱ

    내년 한국경제는
    가계빚과 자영업자 빚 폭탄이
    터지면서 전공황으로 간다구 봐야혀
    공황상태에서 은행과 금융부터 무너지다
    제조업들이 슬슬 무너지기
    시작하는 것이쥐
    서민과 중산층을 살려야 될텐데

  • 21 0
    ㅈㄱㅇㅈㄱㅇ

    뭔 일년
    삼년 고난의 행군인디
    삼년후에 보자
    일년만에 경제가 회복될거라구
    생각을 겁나게 싸가지없이 허믄
    어케하냐

  • 28 0
    이 모든

    원죄는
    이명박ㄹ혜슨실
    공동정권 때문이다.
    한국경제를
    완전히
    망치고
    국가를 개인적 사익을 추구하는데 이용했다.

  • 32 0
    그나 저나

    외부 충격받으면 부동산 폭락으로 ,,,,,,,,,,뱅크런이다 -뱅크런 뱅크런

  • 48 0
    "거품은 반드시 꺼진다"

    서울 주택평균가격이 소득수준 2배 높은 뉴욕,동경,LA 평균주택가격보다 높아
    국민소득수준으로 따져도 서울주택 평균가격이 30% 이상 높은 거품으로 형성

  • 52 0
    2년간 입주 물량 100만호 돌파

    아파트 80만호 연립,다가구,오피스텔등 100만 가구 돌파
    한국 아파트 평균 거주인원 2,6명 -> 260만명 지금 전세,월세에서 입주 대이동

    역전세난에 전세값, 아파트 가격급락으로 입주거부하는 2007년 데자뷰

  • 42 0
    지나가자

    당연하지...이 와중에 집사겠다는 인간이 있으면 비정상이지...그런데 마냥 좋을 것도 없는게 잘못하다간 은행과 가계 합동으로 망하는 수가 있는데 참 걱정이야...그건 그렇고 요즘 갤럽은 대선주자 지지율 장사 안하냐? 뭐라고? 문재인 지지율이 너무 높게 나와서 다른 방법 모색중? 하긴 문재인 1등만 나오면 스폰서가 돈을 안내니...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