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美 위안부결의안 가결돼도 사죄 안하겠다"
"관헌이 납치해 데려가는 강제성 근거 없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종군위안부 망언에 이어 5일에도 “종군위안부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며 "미 하원에서 종군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돼도 사과하지 않겠다”고 망언을 거듭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5일 <교도(共同)통신> <지지(時事)통신>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참의원 예산위원회의 2007년 예산안에 대한 질의 답변 중 종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는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의 결의안에 대한 질문을 받자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 의결이 되더라도 내가 사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미 하원 청문회에서 이뤄진 증언 중 어떤 것도 확고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협의의 의미로서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없었다. 관헌이 사람들을 납치해 데려가는 강제성은 없었다. 그런 것을 증명하는 증언도 없다"고 강변했다.
그는 "당시에는 경제상황도 있었다. 본인이 나서서 그런 길로 가려고 생각한 분은 아마 없을 것이다. 중간에 개입한 업자가 사실상 강제한 케이스도 있었다. 광의의 해석으로는 강제성이 있었다"고 강제연행을 '브로커' 탓으로 떠넘긴 뒤, "기본적으로 고노(河野) 담화를 계승한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의 거듭된 망언은 다음달 지방자치 선거와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수세력의 결집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돼, 일본 야당 및 국제사회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아베 망언에 대해 국제사회는 물론,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 등 일본 야당들과 <아사히 신문> 등 일본의 양심적 언론들도 아베를 맹비난하고 나서 아베는 국내외적으로 고립무원의 처지가 돼가는 분위기다.
5일 <교도(共同)통신> <지지(時事)통신>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참의원 예산위원회의 2007년 예산안에 대한 질의 답변 중 종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는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의 결의안에 대한 질문을 받자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 의결이 되더라도 내가 사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미 하원 청문회에서 이뤄진 증언 중 어떤 것도 확고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협의의 의미로서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없었다. 관헌이 사람들을 납치해 데려가는 강제성은 없었다. 그런 것을 증명하는 증언도 없다"고 강변했다.
그는 "당시에는 경제상황도 있었다. 본인이 나서서 그런 길로 가려고 생각한 분은 아마 없을 것이다. 중간에 개입한 업자가 사실상 강제한 케이스도 있었다. 광의의 해석으로는 강제성이 있었다"고 강제연행을 '브로커' 탓으로 떠넘긴 뒤, "기본적으로 고노(河野) 담화를 계승한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의 거듭된 망언은 다음달 지방자치 선거와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수세력의 결집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돼, 일본 야당 및 국제사회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아베 망언에 대해 국제사회는 물론,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 등 일본 야당들과 <아사히 신문> 등 일본의 양심적 언론들도 아베를 맹비난하고 나서 아베는 국내외적으로 고립무원의 처지가 돼가는 분위기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