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훈수 "야당, 이번엔 무공천 철회하라"
"4년뒤에 무공천하기로 하고 이번엔 공천 선거하라"
<조선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사태를 이 지경으로 끌고 온 근본 책임은 여당에 있다"면서도 "그러나 정치는 현실을 떠나선 존재할 수 없다. 여당이 공약 파기에 대해 사과까지 한 마당에 다시 '불공천'으로 돌아설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이어 "그래서 결국 여당만 후보를 내고 야당은 공천을 하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후유증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며 "야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야당 지지 성향 유권자들로선 지지 정당 선택 기회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자신이 사실상 야당 후보라고 주장하기 위한 야권 후보들의 편법이 난무하면서 선거판이 엉망이 될 수도 있다. 당장 야당 공천을 바랐던 후보들과 지지자 수만명이 출마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탈당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야당 지지표가 분산돼 야권이 참패하고 시·도지사 선거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선거 불복(不服) 논란으로 이어질 게 뻔히 보이는 상황"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을 열거했다.
사설은 이에 "기 싸움을 벌이기엔 시간이 너무 없다. 이번 선거는 현행법대로 기초 공천을 실시하되 4년 뒤 지방선거 공천 여부는 여야가 합의해 법 개정 시한까지 미리 정하는 타협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야당으로선 '기초 불공천'을 명분으로 합당까지 했으니 방향을 틀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많은 유권자도 야당이 공약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불가피하게 이행 시기를 늦출 수밖에 없게 됐다는 사정을 이해할 것으로 본다"며 새정치측에 조건부 무공천 철회를 주문했다.
사설은 "기초 선거 불공천을 4년 뒤로 늦춘다고 해서 지방자치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여당이 책임을 통감하고 야당은 판을 엎을 생각이 아니라면 이쯤에서 타협하는 것이 옳다. 여기서 더 나가면 국민과 약속을 지킨다는 것은 겉 명분일 뿐이고 속 생각은 따로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거듭 무공천 철회를 주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