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쌍용건설, 결국 법정관리 신청
군인공제회의 가압류로 법정관리의 길로
쌍용건설이 30일 결국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쌍용건설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어 법정관리 신청을 결의, 서울중앙지법에 접수시켰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워크아웃을 신청했던 쌍용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 것은 워크아웃 비협약채권자인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조치 때문이다. 쌍용건설로부터 1200억여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원리금을 받지 못한 군인공제회는 이달초 모든 쌍용건설 공사장에 대한 가압류를 단행했다.
채권단은 군인공제회가 가압류를 풀지 않으면 쌍용건설에 대한 추가지원을 할 수 없다고 경고했으나 군인공제회가 이를 거부하면서 자금난에 봉착한 쌍용건설은 결국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됐다.
도급순위 16위인 중견건설업체인 쌍용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협력업체들이 타격을 입고 16개 해외공사도 중단되는 등 피해가 예상되며, 다른 건설업체들에 대한 시장의 불안도 커지는 등 파장이 뒤따를 전망이다.
쌍용건설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어 법정관리 신청을 결의, 서울중앙지법에 접수시켰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워크아웃을 신청했던 쌍용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 것은 워크아웃 비협약채권자인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조치 때문이다. 쌍용건설로부터 1200억여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원리금을 받지 못한 군인공제회는 이달초 모든 쌍용건설 공사장에 대한 가압류를 단행했다.
채권단은 군인공제회가 가압류를 풀지 않으면 쌍용건설에 대한 추가지원을 할 수 없다고 경고했으나 군인공제회가 이를 거부하면서 자금난에 봉착한 쌍용건설은 결국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됐다.
도급순위 16위인 중견건설업체인 쌍용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협력업체들이 타격을 입고 16개 해외공사도 중단되는 등 피해가 예상되며, 다른 건설업체들에 대한 시장의 불안도 커지는 등 파장이 뒤따를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