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진영, 朴대통령 면담 요청했으나 김기춘이 묵살"
김기춘 "어느 나라 대통령이 장관 면담 거절하겠나"
3일 <국민일보> 인터넷판에 따르면, 여권 관계자는 <국민>과의 통화에서 "진 전 장관이 평소 자존심이 강한데 대통령에게 해명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자 무력감을 느꼈고, 이것이 사퇴를 결심하는 데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과정에서 최원영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은 자신이 주도한 수정안을 마치 진 전 장관이 동의한 안인 것처럼 박 대통령에게 ‘허위 보고’를 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 수석이 진 전 장관을 배제한 채 복지부 내 기초연금 정책을 담당하는 실·국에 직접 지시해 수정안을 만들었다는 것.
박 대통령은 진 전 장관의 면담요청 사실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언론 보도가 나온 뒤에야 사태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국민>은 덧붙였다.
김영근 민주당 수석부대변인은 즉각 논평을 통해 "각 부처 장관이 자유로이 대통령을 못 만나는 상황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불행이지만, 국민에게는 재앙이나 마찬가지"라며 "정말 사실이 아니길 바라지만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청와대 주변에서는 이미 각 부처 장관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을 거치지 않고는 대통령에게 보고할 수 없다는 얘기가 파다하게 퍼진 상황"이라며 "이쯤 되면 불통(不通)의 청와대라고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하다. 복지공약 주무부처 장관의 해명 기회조차 묵살할 정도면 국민의 목소리는 누가 들어준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나 김행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김기춘 실장은 <국민> 보도에 대해 "어느 나라 대통령이 장관이 면담을 요청하는데 거절을 하겠나. 왜 안 만나주겠나"라며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김 대변인은 "기초연금 안이 보고될 때 (대통령과 장관이) 만났고, 장관이 사우디 출장을 간 후에는 면담요청을 한 사실이 없다"며 "이건 부속실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지난 8월 30일 보건복지부에서 국민연금과 연계하는 안과 연계하지 않는 안 두 가지를 보고했고, 박 대통령은 이에 국민연금과 연계시키면서 형평성을 보완할 수 있는 안을 만들라는 지침을 내렸다.
진영 장관은 이에 "대통령이 연금과 연계시키는 안에 대해 확고하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복지부 안도 있으니 다시 검토했으면 좋겠다"고 밝혔고, 이에 전문가들과 복지부가 회의를 해서 최종안을 만들어 진 장관에게 보고했다. 이후 진 장관은 4차례 회의를 주재하며 최종안을 만들었다.
최원영 청와대 복지수석도 자신이 장관을 배제한 채 보고했다는 의혹에 대해 "어떻게 수석이 장관을 건너뛰고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를 할 수 있나.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진 장관이 차관을 통해 최 수석에게 직접 보고하라고 2차례 부탁했고, 결국 최 수석이 서면으로 보고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왜 보고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지 모르겠다"며 "불통이라고 비난하기보다 진실을 직시하는 것이 정치권의 도리가 아니겠나"라며 강한 유감을 나타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