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 드라마...평양커넥션
임기 만료 9개월을 앞두고 종북(從北) 세력에 대한 공개적 우려를 사실상 처음으로 나타낸 것은 만시지탄(晩時之歎)이 아닐 수 없다. 이 대통령은 28일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북한이 자행하고도 적반하장(賊反荷杖)으로 일관한 2010년 서해에서의 천안함 폭침 도발, 1983년 미얀마에서의 '아웅산 테러' 등을 되새기면서 "늘 그래왔던 북한의 주장도 문제지만 이들의 주장을 그대로 반복하는 우리 내부의 종북 세력은 더 큰 문제"라고 밝혔다. 종북 세력의 발호는 이 대통령 취임 이래 각계에서 끊임없이 지적해왔고, 이를 단호하고 철저히 차단해야 할 제1의 책무가 정부에 있다는 사실 또한 지속적으로 강조돼왔는데도 이 대통령은 '종북' 단어조차 이제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가 "이 대통령은 '별도 보고'를 통해 파악한 사회 일각의 '평양 커넥션'을 오랫동안 걱정해왔고 더 미룰 수 없는 시점이 됐다고 보고 있다"고 부연한 사실에 비춰서도 종북 세력에 대한 이 대통령의 문제의식이 지나치게 한가했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평양 커넥션'은 잠시도 좌고우면할 일이 아니라 즉각적·상시적으로 엄단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2008년 2월25일 제17대 대통령 취임사에서부터 "이념의 시대를 넘어 실용의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면서 북한 정권은 물론 종북 세력의 실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잘못된 신호를 보내오지 않았던가.
이 대통령이 뒤늦게라도 이적(利敵)의 종북 세력에 대해 '경보 버튼'을 누른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것도 공허한 말에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 실천될 경우에 그렇다. 종북 세력의 '평양 커넥션'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북한의 대남(對南) 공작기구인 225국이 지난해 6월21일 대한민국 내 지하당인 '왕재산'의 총책 김덕용에게 '야권 연대' 추진 과정에서 주사파 학생운동권의 부활을 강조하며 민주노동당과 민주당 소속 대학생 조직의 의식화 노력을 적극 전개하라고 지령을 내린 것도 그 실증적인 예의 하나임을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