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공천 경쟁률 2.91대1, 호남-수도권 치열
총 486명 신청, 여성 신청자 49명
민주통합당이 지난 9일부터 시작한 4.11 총선 지역구공천 신청을 11일 마감한 결과 총 713명이 신청, 2.91대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종석 민주통합당 사무총장은 12일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18대 총선 당시 486명이 신청해 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데 비해 경쟁률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최종 접수 마감 결과 가장 공천 경쟁률이 심한 곳은 11석의 전북으로 49명이 지원해 4.4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광주 4.0대 1, 전남 3.58대 1 등 전통적 강세 지역인 호남권의 경쟁률이 높았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48석)에 191명이 몰리면서 3.9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경기와 인천도 3.49대 1, 3.17대1로 높았다.
반면 대구 경북과 부산 경남 지역은 저조했다. 경북(15석)은 11명, 대구(12석)는 10명이 지원해 각각 0.73대 1과 0.83대 1에 그쳤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문성근 최고위원 등이 출마한 부산(18석), 경남(17석)은 각각 27명과 30명이 등록해 1.5대1, 1.76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밖에 대전 3.83대 1, 울산 1.5대 1, 강원 3.38대 1, 충북 1.5대 1, 충남 2.4대 1, 제주 3.0대 1 등으로 경쟁률이 집계됐다.
후보 등록자가 없는 곳도 있었다. 김근태 전 상임고문의 지역구로 부인 인재근 여사의 출마가 유력시되는 서울 도봉갑을 비롯해, 부산 서구, 대구 서구 등 15개 선거구는 후보 등록자가 없었다.
반면최다 후보자가 등록한 지역은 8명이 출마한 서울 용산구, 광진갑, 동대문갑, 중랑을, 마포을, 송파병, 경기 성남 수정 등 6곳이나 됐다.
수도권 남성후보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는 '여성15% 할당 공천'과 관련, 여성 후보의 후보 등록은 49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여성의 경우 41개 선거구에서 단수 후보로 등록했고 4개 선거구에서는 복수로 신청했다.
민주당은 13일 열리는 최고위와 당무위에서 공심위가 결정한 공천 기준 및 심사 방법을 확정하고 공천 심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임종석 민주통합당 사무총장은 12일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18대 총선 당시 486명이 신청해 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데 비해 경쟁률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최종 접수 마감 결과 가장 공천 경쟁률이 심한 곳은 11석의 전북으로 49명이 지원해 4.4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광주 4.0대 1, 전남 3.58대 1 등 전통적 강세 지역인 호남권의 경쟁률이 높았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48석)에 191명이 몰리면서 3.9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경기와 인천도 3.49대 1, 3.17대1로 높았다.
반면 대구 경북과 부산 경남 지역은 저조했다. 경북(15석)은 11명, 대구(12석)는 10명이 지원해 각각 0.73대 1과 0.83대 1에 그쳤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문성근 최고위원 등이 출마한 부산(18석), 경남(17석)은 각각 27명과 30명이 등록해 1.5대1, 1.76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밖에 대전 3.83대 1, 울산 1.5대 1, 강원 3.38대 1, 충북 1.5대 1, 충남 2.4대 1, 제주 3.0대 1 등으로 경쟁률이 집계됐다.
후보 등록자가 없는 곳도 있었다. 김근태 전 상임고문의 지역구로 부인 인재근 여사의 출마가 유력시되는 서울 도봉갑을 비롯해, 부산 서구, 대구 서구 등 15개 선거구는 후보 등록자가 없었다.
반면최다 후보자가 등록한 지역은 8명이 출마한 서울 용산구, 광진갑, 동대문갑, 중랑을, 마포을, 송파병, 경기 성남 수정 등 6곳이나 됐다.
수도권 남성후보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는 '여성15% 할당 공천'과 관련, 여성 후보의 후보 등록은 49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여성의 경우 41개 선거구에서 단수 후보로 등록했고 4개 선거구에서는 복수로 신청했다.
민주당은 13일 열리는 최고위와 당무위에서 공심위가 결정한 공천 기준 및 심사 방법을 확정하고 공천 심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