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면 무상급식 반대'에서 대폭 후퇴
"무상급식, 지차제가 자율적으로 결정", 박근혜 복지안 수용
이주영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내 '더좋은복지 TF'가 마련한 복지정책 초안을 당 지도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초안에 따르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고집했던 소득 50% 이하 계층만 무상급식 방침을 "학교급식에 대한 지원은 각 지자체가 처한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되, 당은 무상급식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지지한다. 다만 급식의 질이 도외시되는 전면적 무상급식을 앞당기기보다는 안전하고 질 높은 친환경 영양급식에 대한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가는 것을 권고한다"로 크게 후퇴했다.
지자체 상황에 따라서는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해도 무관하다는 의미인 셈. 실제로 박근혜 전 대표, 안상수 전 대표 등의 지역구에서는 이미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밖에 1단계 '육아종합대책(안심하고 맡기는 보육)' 2단계 교육희망사다리정책(내실있고 기회가 고른 교육), 3단계 일자리와 주거보장, 4단계 건강과 노후생활보장 등 소위 '생애 단계별 맞춤형 복지'안을 제시했다.
한나라당은 단계별 구체적 정책은 향후 단계적으로 발표하기로 했다.
이같은 초안은 박근혜 전 대표의 '맞춤형 평생복지' 정책 방향과, 무상급식에 있어서도 "지자체별 재정 여건에 따른 자율결정"이라는 가이드라인을 전면 수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오는 10일 의총을 열어 이같은 복지안을 최종 추인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