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상병 "더이상 구타, 왕따, 기수열외 없어져야"

"너무 괴롭다. 죽고 싶다"

해병대 2사단의 강화군 소초 내무반에서 총기 사건을 일으킨 김모 상병(19)은 5일 해병대의 고질적인 병폐로 꼽히는 '기수열외'가 이번 사건의 원인이었음을 시사했다.

김 상병은 이날 대전국군병원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사고조사단과 문답을 통해 "이번 사고원인이 개인 신상 문제냐"고 묻자 "아니다. 너무 괴롭다. 죽고 싶다. 더이상 구타, 왕따, 기수 열외는 없어져야 한다"고 답했다고 국방부 관계자가 전했다.

해병대에서 나타나는 '기수 열외'는 부대원들 사이에서 특정 해병을 후임자들이 선임 취급도, 선임자들이 후임 취급도 해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김 상병은 '누가 왕따를 시켰는가'라는 질문에는 "선임 대우를 해주지 않았다. OOO의 주도로 후임병들이 선임 대우를 해주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김 상병이 지칭한 병사는 숨진 권승혁 일병(20)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김 상병은 이번 사건원인이 집안 문제냐고 묻자 아니라고 했다"면서 "김 상병과 사고조사단의 문답은 필담으로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9 개 있습니다.

  • 0 0
    언론의 오해

    선임대우 안 해준단 것은 즉 자신은 후임에게 군기가 빠졌다는 시비를 걸어 맨날 폭력을 휘둘러 왓다는고백,,즉, 그가 후임을 때리는 합리화가 선임으로 모시지 않는다는 표현, 그런 걸 모르는 뉴스는 마치 초등학교에서 왕따당한 학생이 분노 폭발처럼 해석,저건 전형적 폭력군인 사건, 즉,후임에게 다 군기가 빠져보여 막 때리고 윗 놈에게 맞으면 못 참는 성격

  • 1 0
    개판오분전

    휴~ 이명박 정권에서 개판 아닌게 어딨나? 모든게 개판이다. 해병대 사령관이 책임져야할 사안이라고 본다. 물론 이명박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겠지만.........

  • 10 0
    개병대

    김 상병은 무죄다...
    -
    특히, 지원병 체제의 해병대가 아닌가?
    정녕 부적응 자는 의병 제대시켜 걸러주면 될 일이다.
    -
    차제에 해병대 병영 생활 전반에 대수술이 필요하다고 본다.
    -
    이런 상황으로, 적과 싸우면 '백전백패'다...
    귀신잡는 해병은 무신... 인간성 말쫑 양성소구먼...

  • 1 2
    81년 초 군번

    밤송이 위에
    *대가리로 물구나물 세워 놓아도
    국빵부 시곈 돌아간다는 곳이 군대다.
    -
    결국, 낯설고 환경이 다른 세계에서
    정신적인 위로와 고무로 북돋워주면 우리나라 군대 못해낼 사람 엄따.
    -
    후임들로부터의
    상시 반말과 구타가 가능하고,
    또한 그것이 용인된다는 것이... 참.
    -
    해병대, 완존 막장 군대다. 폐지시켜라.

  • 1 1
    개병대

    개병대, 바로 'MB 식' 군대구먼...
    -
    적응이 힘든, 적응이 늦은 사람도 있게 마련이다.
    다 같이 고생하는 처지에 쫌 부족하면 서로 거들어 주면 될텐데...
    -
    군대 생활에서,
    제일 위안이 동기들임은 군 생활해본 사람은 다 안다.
    동기들이 서로 거들어주고 도와주고, 바람막이가 되어주진 못하고...
    -
    완존 막장, 개병대구먼...

  • 4 1
    인간 말쫑들

    기수 열외... 참.
    원래 사람 사는 곳엔 적응이 더딘 사람도 있고 그런 것인데..
    제대 이후에조차도 '기수'에 맞춰 줄을 선다는 그들이, 우찌...
    후임들로 하여금 반말과 갈굼, 심지어 구타까지 교사 강요한다니...음.
    이건 인간성 자체가 파괴되는 막장 상황이다. 이거이 해병대 정신인가?
    정신까지 썩은 인간 말쫑 당나라 군대구마...

  • 10 1
    과거같으면

    국방장관 해임감이다

  • 27 3
    아직도군대는

    해병대이든 일반보병부대이든 기수열외와같은 비인간적인 관례가 아직도 많다는것에 놀랐다.솔직히 군생활 잘하는 사람도 있고 적응이 늦어서 초기에 고문관으로 찍혀 고생하는 이들도 있다.군생활이 자신의 인생에서 극히 일부에 불과함에도 이를 인내하지 못한 부분이 너무 아쉽고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기위한 근본대책없이 인습에따라 행동해온 부대에도 실망감을 느낀다

  • 20 2
    육손

    국가기강이 무너진 한국에서 어디든 문제가 없겠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