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강국면' 진입? 생산-소비 동반 하락
물가 폭등과 국제정세 불안에 생산 줄고 재고 쌓이며 소비 급랭
2월 산업생산이 주춤하고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선행.동행지수도 동반 하락하는가 하면, 소매판매액지수도 22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물가 폭등이 경제 전반에 먹구름을 드리우면서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한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2월 광공업생산은 전년 동월비로 9.1% 증가했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오히려 2.3%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 역시 1월 84.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한 달 만에 82.5%로 2.2%포인트 하락했다.
또한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전월차는 -0.2%포인트로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전월차도 -0.6%포인트로 2개월 만에 하락했다.
2월 생산자제품출하는 지난해 2월보다는 10.3% 늘었으나 전월에 비해서는 4.4% 줄었다.
제품이 덜 팔리면서 재고는 전월보다 반도체 및 부품(13.9%), 컴퓨터(20.4%) 등이 늘면서 2.7%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반도체 및 부품(23.9%), 자동차(17.9%), 1차 금속(11.6%) 등의 증가에 따라 11.0%나 늘었다.
그 결과 제조업의 재고율지수(재고/출하 비율)는 96.4로 1월의 89.8에서 6.7포인트나 급등, 제조업 재고출하순환도를 보면 '회복·상승' 국면에서 '둔화·하강' 국면으로 꺾였다.
제조업가동률지수도 자동차와 기타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월과 비교하면 2.6% 감소했으며 서비스업 생산도 전월 대비로 3.4% 감소했다.
물가폭등의 직격탄을 맞아 2월의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대비 6.1% 급감했다. 특히 의복 등 준내구재(-8.2%)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7.7%), 승용차 등 내구재(-2.2%) 등 모두 감소했다.
특히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에 비해서도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의 판매가 줄어 0.8% 감소해 2009년 4월(-4.2%) 이후 22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도 기계류 투자가 줄어 전월보다 8.4% 줄었으며, 건설기성(경상)은 건축 및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전월대비 8.1% 줄었고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13.2% 감소했다.
이같은 2월 산업동향은 지난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8로 전월보다 7포인트 급락하면서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급락세를 보였던 것과 맞물려 물가 폭등이 국내 경제 전반을 침체의 늪으로 밀어놓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풀이되고 있다.
여기에다가 중동 정세 불안에 따라 고유가 행진이 계속되고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사태에 따른 세계경제 위축이 맞물려 경제가 다시 본격적 침체 국면으로 빨려들어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2월 광공업생산은 전년 동월비로 9.1% 증가했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오히려 2.3%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 역시 1월 84.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한 달 만에 82.5%로 2.2%포인트 하락했다.
또한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전월차는 -0.2%포인트로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전월차도 -0.6%포인트로 2개월 만에 하락했다.
2월 생산자제품출하는 지난해 2월보다는 10.3% 늘었으나 전월에 비해서는 4.4% 줄었다.
제품이 덜 팔리면서 재고는 전월보다 반도체 및 부품(13.9%), 컴퓨터(20.4%) 등이 늘면서 2.7%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반도체 및 부품(23.9%), 자동차(17.9%), 1차 금속(11.6%) 등의 증가에 따라 11.0%나 늘었다.
그 결과 제조업의 재고율지수(재고/출하 비율)는 96.4로 1월의 89.8에서 6.7포인트나 급등, 제조업 재고출하순환도를 보면 '회복·상승' 국면에서 '둔화·하강' 국면으로 꺾였다.
제조업가동률지수도 자동차와 기타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월과 비교하면 2.6% 감소했으며 서비스업 생산도 전월 대비로 3.4% 감소했다.
물가폭등의 직격탄을 맞아 2월의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대비 6.1% 급감했다. 특히 의복 등 준내구재(-8.2%)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7.7%), 승용차 등 내구재(-2.2%) 등 모두 감소했다.
특히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에 비해서도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의 판매가 줄어 0.8% 감소해 2009년 4월(-4.2%) 이후 22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도 기계류 투자가 줄어 전월보다 8.4% 줄었으며, 건설기성(경상)은 건축 및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전월대비 8.1% 줄었고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13.2% 감소했다.
이같은 2월 산업동향은 지난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8로 전월보다 7포인트 급락하면서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급락세를 보였던 것과 맞물려 물가 폭등이 국내 경제 전반을 침체의 늪으로 밀어놓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풀이되고 있다.
여기에다가 중동 정세 불안에 따라 고유가 행진이 계속되고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사태에 따른 세계경제 위축이 맞물려 경제가 다시 본격적 침체 국면으로 빨려들어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