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조중동>이 이 나라 모든 권력 갖고 있나"
검찰 "고소 여부 따지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사할 것"
검찰로부터 <조중동> 광고끊기 수사의 1차 대상으로 거명된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카페(옛 조중동폐간국민캠페인)'이 27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조중동>과 검찰을 질타했다.
카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광고끊기 운동을 하는 이유와 관련, "<조중동>에게 진정한 언론이란 무엇인지, 정론직필이란 무엇인지를 언론 소비자로서 알려주고자 나선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중동은 여전히 변화를 거부하고 오히려 우리들에게 공격, 불법, 협박 운동의 본산이라는 무시무시한 딱지를 붙였다"며 <조중동>을 비난했다.
카페는 이어 "<조선일보>는 다음커뮤니케이션 측에 공문을 보내 카페의 불법행위로 자신들이 막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카페 폐쇄를 요청했고 <동아일보>는 카페에 게시된 몇몇 글들이 자신들의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며 해당 게시글 삭제를 요청했다. 이에 호응하는 검찰과 법무부는 광고주들에게 전화를 한 촛불시민들을 형사처벌하겠다며 조중동의 시녀 역할을 자청하고 있다"며 <조중동>과 검찰을 싸잡아 비난한 뒤, "<조중동>이 사법기관이냐? <조중동>이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을 가지고 있냐"고 반문했다.
카페는 방통위의 심의가 진행되는 기간에 '오늘의 숙제하기' 게시판과 '광고 전체 리스트' 게시판에 대해 회원들의 접근을 차단했음을 밝힌 뒤, "만약 7월 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광고목록을 삭제하라는 결정이 난다면 우리는 법적 소송을 제기해 과연 이 나라에 상식이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사법부에 그 판단을 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카페의 반발에도 김수남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이날 검찰 수사팀과 관내 경찰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사이버폭력 유관기관 대책회의'에서 "소비자의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의 권리이지만 어떤 기본권도 다른 사람의 것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인터넷 게시물도 지켜야 할 선이 있다"며 "인터넷을 매개로 기업을 집단적으로 협박해 정상적인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사례를 적극 단속하겠다"며 강력 대응 방침을 재차 분명히 했다.
김 차장검사는 이날 참석자들에게 ▲특정인의 개인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해 협박을 유도하는 사례 ▲허위사실 또는 모욕성 댓글을 다는 행위 ▲집단적 협박에 가까워 정상적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고소ㆍ신고 여부를 따지지 말고 적극적으로 수사할 것을 지시했다.
카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광고끊기 운동을 하는 이유와 관련, "<조중동>에게 진정한 언론이란 무엇인지, 정론직필이란 무엇인지를 언론 소비자로서 알려주고자 나선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중동은 여전히 변화를 거부하고 오히려 우리들에게 공격, 불법, 협박 운동의 본산이라는 무시무시한 딱지를 붙였다"며 <조중동>을 비난했다.
카페는 이어 "<조선일보>는 다음커뮤니케이션 측에 공문을 보내 카페의 불법행위로 자신들이 막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카페 폐쇄를 요청했고 <동아일보>는 카페에 게시된 몇몇 글들이 자신들의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며 해당 게시글 삭제를 요청했다. 이에 호응하는 검찰과 법무부는 광고주들에게 전화를 한 촛불시민들을 형사처벌하겠다며 조중동의 시녀 역할을 자청하고 있다"며 <조중동>과 검찰을 싸잡아 비난한 뒤, "<조중동>이 사법기관이냐? <조중동>이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을 가지고 있냐"고 반문했다.
카페는 방통위의 심의가 진행되는 기간에 '오늘의 숙제하기' 게시판과 '광고 전체 리스트' 게시판에 대해 회원들의 접근을 차단했음을 밝힌 뒤, "만약 7월 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광고목록을 삭제하라는 결정이 난다면 우리는 법적 소송을 제기해 과연 이 나라에 상식이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사법부에 그 판단을 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카페의 반발에도 김수남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이날 검찰 수사팀과 관내 경찰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사이버폭력 유관기관 대책회의'에서 "소비자의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의 권리이지만 어떤 기본권도 다른 사람의 것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인터넷 게시물도 지켜야 할 선이 있다"며 "인터넷을 매개로 기업을 집단적으로 협박해 정상적인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사례를 적극 단속하겠다"며 강력 대응 방침을 재차 분명히 했다.
김 차장검사는 이날 참석자들에게 ▲특정인의 개인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해 협박을 유도하는 사례 ▲허위사실 또는 모욕성 댓글을 다는 행위 ▲집단적 협박에 가까워 정상적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고소ㆍ신고 여부를 따지지 말고 적극적으로 수사할 것을 지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